loading

岳岩漢字屋

甲辰年 새해 하시는 일들이 日就月將하시고 乘勝長驅.하시고 萬事亨通 하세요!!!

반응형

촬영의 기본 상식 사진 기초상식 기본만 알면 누구나 작가가 될 수 있다

 

 

 

필자가 처음 5D MARK II를 접하게 된 것은 해외 사이트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보면서 뭔가 대단한 카메라가 출시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고 부터였다. 이 카메라가 국내에서 발매가 되고, 리뷰를 하면 할수록, 5D MARK II로 촬영하면 할수록, 이 카메라의 매력에 차츰 빠져들게 되었는데, 촬영감독으로써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영역이 넓어진다는 점은 반가운 일일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ENG 카메라나 소형 카메라로는 경험할 수 없었던 얕은 심도에서 오는 포커싱의 어려움들과 카메라의 안정성 등은 아직도 DSLR을 사용하는데 커다란 걸림돌로 자리 잡고 있다. 이점이 한편으로는 무분별한 DSLR에 대한 선호를 어느 정도 막아주고 있는 부분이다. DSLR을 이용한 영상물 촬영의 어려움이 여기서 알 수 있다.

 

간혹, DSLR 렌즈의 오토 포커스 기능에 대한 문의를 하는 분들이 계신데, 그때마다 필자는 당혹스럽다. 포커스의 선별은 촬영에 있어서 정말 중요한 부분인데, 누구에게 포커스를 맞추느냐에 따라 이야기의 구조가 달라진다. 그런데, 그걸 기계 따위가 결정한다는 것은 뭔가 크게 잘못된 일이다. 이런 안일한 생각은 6mm 카메라가 도입되면서부터 시작하였고 이 현상은 6mm 시스템의 문제가 아닌 우리나라 방송구조의 문제이다. 그런데, 이런 잘못된 시스템이 DSLR 촬영에서도 비슷하게 도입되려는 조짐이 보인다는 것이 안타깝다.

 

촬영의 기본

필자는 촬영의 기본은 좀 더 좋은 영상을 위해서 조금 더 노력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조금만 조금만이 모여서 좋은 영상의 기초가 되고, 토양이 되어서 좋은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지, 테크닉이나 요령으로 결코 좋은 영상이 나올 수 없다. 물론, 촬영 대상을 바라보는 시각도 남들과는 달라야겠지만, 그 전에 우리는 조명의 작은 부분에 신경을 쓰고, 앵글에 조금만 더 집중을 하고, 배경을 어디로 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촬영 습관을 가져야 한다.

 

촬영의 기본은 촬영한다는 행위의 올바른 이해와 촬영 대상을 영상으로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를 볼 수 있는 영상적 시각이 필요하다. 그리고, 촬영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의 기능을 이해해야 하며, 촬영에 사용될 카메라를 선택하는 순서로 진행되어야 한다.

 

과연 촬영이란 무엇일까? 장비의 진화, 특히 카메라의 진화는 자칫 전문가 집단을 무력화 시키는 힘을 갖고 있다. 물론, 전문가들이 장비에 의존해서 멋진 영상을 촬영하는데 조금 더 유리한 부분들이 과거에는 있었지만, 장비가 촬영의 전부를 결정짓는 것은 아니다.

 

그 이전에 앵글이나 사이즈, 피사체의 조명 상태, 시선 방향, 배경에 따라 영상이 표현하는 바가 달라지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이 아닌 새로운 의미의 재창조를 하는 과정이 촬영이다. 이렇듯 수많은 선택을 통하여 대상을 의미화 하는 이 과정은 카메라가 하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를 조작하는 촬영자의 몫이다. 촬영하는 사람이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해석해서 새로운 의미를 창조해내는 과정은 교육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카메라의 기술적인 운용만이 아닌, 균형 잡힌 시각과 올바른 가치판단을 익히고, 상황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표현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접근 방식을 모색하여 시청자의 판단을 왜곡시키지 않으려는 노력을 하는 것이 올바른 촬영인 것이다.

 

촬영의 기초를 익혔다면 이제 좀 더 기술적인 접근이 필요한데, 일명 카메라 아이(CAMERA EYE)를 통해 카메라의 시각에서 사물을 바라보는 안목을 가져야 한다. 우리가 보는 그대로 피사체는 존재하지만,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는 카메라의 기계적인 특성으로 인해 의미가 변형된다.

 

영상은 어떻게 촬영하느냐에 따라 실물보다 더 예쁘게 촬영되거나, 실물보다 못하게 촬영될 수도 있는데, 이를 통제하고,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는 자세가 우리에겐 필요하다. 영상은 영상 고유의 시각적 표현방법이 있으며, 이러한 시각적인 기법들을 익히고 사물을 영상적 시각으로 보는 교육을 통하여 이야기하고자 하는 생각들을 좀 더 효과적으로 표현 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기본만 알면 누구나 작가가 될 수 있다! -사진 기초상식

 

사진촬영에 정해진 규칙은 없습니다. 그러나 기초가 되는 내용을 공부하고, 그것을 응용해서 촬영하면 좀 더 나은 사진을 얻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아래에 제시된 내용 중 100% 정답은 없지만 저 내용을 토대로 자신에게 맞는 촬영 방법을 찾는다면 누구나 멋진 사진작가가 될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제일 쉽고, 제일 어려운 인물 촬영

1. 얼굴 형태에 따라서 삼각형의 얼굴은 위에서 밑으로 찍고, 역삼각형의 얼굴은 아래서 쳐다 보듯 앵글을 잡는다.

 

2. 얼굴이 둥글납짝하면 옆 얼굴을 찍고 상처가 있을 때는 상처가 안보이는 쪽에서 카메라 앵글을 잡는다.

 

3. 전신 사진을 찍을 때 상대방의 가슴 높이에서 렌즈를 향해야 날씬해 보인다. 그리고 얼굴은 카메라를, 몸의 방향은 약간 비스듬히!

 

4. 손 위치나 악세사리를 손에 쥐거나 하는 연출은 자연스러운 모습을 연출 할 수 있다.

 

5. 얼굴의 결점을 숨기고, 표정의 움직임 속에서 매력점을 찾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최대한 피사체를 편안하게 하여 자연스러움을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

 

6. 눈을 중심으로 찍을때 검은 눈동자에는 하얀빛이 찍혀져야 살아있는 느낌을 준다.

 

7. 얼굴의 초점은 되도록 눈에 맞추는 것이 좋다.

 

8. 안경 쓴 사람을 찍을 때에는 안경이 반사하고 있지 않나 확인 해야한다. 특히 스트로보를 사용 할 때에는 얼굴을 약간 아래를 향하게 하여 반사광을 피하는 것이 좋다.

 

9. 배경은 되도록 복잡하지 않은 곳을 고르고, 조리개를 많이 열어주면(f2.8에 가깝게) 인물의 뒷배경이 흐리게 처리되어 깔끔한 사진을 얻을 수 있다.

 

10. 수평선이나 가로 그어지는 물체의 선이 피사체의 목부위에 걸치거나 전신주 같은 수직선이 머리 위에 있지 않도록 주의한다.

 

11. 하늘이 차지 하는 면을 적게하여 찍으면, 화면의 짜임새나 분위기를 찾기 쉽다.

 

12. 햇빛이 머리 위에서 비치면 코 밑이나 턱 밑에 짙은 그림자가 생겨 미인도 밉게 찍힌다. 이런 때는 될수록 피하는 것이 좋으나 반드시 찍어야 할 경우 플래시를 사용하는것이 좋다.

 

13. 정면에서 햇빛이 비치면 저절로 얼굴이 찌푸려진다. 이럴 때는 빛을 등지게 하여 역광을 이용하면 좋은 사진을 만들 수 있다.

 

못찍어도 잘나오는 어린이 촬영

1.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카메라의 위치를 낮추는 것이 좋다.

 

2. 아기를 찍을 때는 장난감이나 우유병 같은 물건을 화면에 함께 담으면 아기의 성장 정도를 후에 짐작하기도 쉽고, 사진을 유머러스 하게 만들 수도 있다.

 

3. 낯가림이 심한 아기를 촬영 할 때는 가장 가까운 엄마, 가족, 형제들과 어울리게 하는 가운데 셔터찬스를 잡는 것이 좋다.

 

4. 카메라에 대한 호기심이 많은 아이들의 장난기를 이용하면 재미있는 사진을 만들 수 있다.

 

5. 자연스러운 모습을 원한다면 어린이가 의식하지 않도록 촬영하는 것이 좋다. 너무 큰 카메라와 셔터소리 또한 촬영의 방해요소 중 하나이다.

 

발길 닿는 곳으로 풍경 촬영

1. 아무리 눈으로는 커 보이는 풍경도 대비가 되는 물체가 없으면 크게 느꺼지기 힘들다. 대비되는 물체를 함께 넣으면 사진에서펼쳐진 풍경의 크기를 가늠 할 수 있다.

 

2. 넓은 풍경일수록 근경을 넣어야 깊고 멀게 느껴진다.

 

3. 일출, 일몰은 한 시간 전후가 가장 적절하다.

 

4. 야경사진은 해가 지고 아직 밤이 안 된 어스름 할 때 가장 야경다워진다. 한밤 중에는 찍힐 광선이 없기 때문이다.

 

5. 해를 등져서 찍기 보다는 비슷하게 기울은 광선으로 찍어야 돋보인다.

 

6. 안개나 구름을 도구로 이용해본다. 안개와 구름은 가리고 싶은 것을 가려주고 돋보이게 만들어 주기도 한다.

 

7. 산을 높게 보이게 찍으려면 대사면에서 찍어야 하며 산의 능선의 한쪽이 화면의 수직변으로 잘라지게 하면 그 능선이 계속 이어지는 듯 느껴져 높아 보인다.

 

스릴감 넘치는 스포츠 촬영

1. 축구나 핸드볼 같은 경기는 첫째 피사체가 나의 뜻대로 되어주지 않으며, 둘째 넓은 장소에서 여러사람이 각양각색의 행동과 표정을 한다는 점 때문에 촬영하고자 하는 선수를 지속적으로 주시하고 있는 것이 좋다.

 

2. 망원렌즈와 속도가 빠른 CF카드는 필수다.

 

3. 구기인경우에는 볼도 같이 찍혀야 현장감이 산다.

 

4. 스포츠 사진은 항상 고속셔터로 정지 시켜야만 올바른 것이 아니다. 줌잉(Zooming)이나 팬닝(Panning)으로 촬영하면 역동적인 느낌을 살릴 수 있다.

 

5. 경기의 규칙이나 시합에 대한 예상이 셔터찬스를 가르쳐 준다. 물론 약한 팀의 골문 부근을 노리는 것도 중요하다.

 

6 . 선수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배경을 단순하게 하는 것이 좋다. 그러기 위해 낮은 곳이나 높은 곳에서 찍는 것이 좋다.

 

7. 가능한 한 화면 가득히 선수의 모습을 담거나, 어떤 부분만으로 화면을 채워서 힘찬 광경을 만든다.

 

8. 가정 절정인 순간보다는 약간 앞서서 누른다. 셔터를 누른다음 약 0.3초 뒤에 촬영이 되기 때문에 한 발 빠르게 셔터를 눌러주는 것이 좋다.

 

9. 급히 셔터를 누르다 보면 저절로 손가락에 힘이 들어가기 쉬운데 이것은 셔터 진동이라는 흔들린 사진이 되는 원인이 된다.

 

가장 자주 많나는 피사체 꽃

1. 야외에서 꽃을 찍을 때에 가장 신경쓰이는 점은 꽃이 항상 흔들린다는 점이다. 따라서 가능한 고속셔터를 사용하되 꽃의 흔들림이 끝에 다달은 시점에 맞추어서 셔터를 누르는 것이 좋다.

 

2. 초점을 맞추는 요령은 거의 맞는 거리에서 카메라를 겨눈채 몸을 꽃 쪽으로 이동해보면 가장 뚜렷이 보이는 점을 느낄수 있다.

 

3. 하얗거나 밝은 꽃은 어두운 배경으로 받쳐주면 눈부시게 빛난다. , 가로 세로 한 뼘 정도의 초록 회색 검정색 등의 색종이를 가지고 다니면 다양하게 배경을 구사하여 촬영 할 수 있다.

 

4. 노트 크기만한 은종이 반사판으로 원하는 부분만 비쳐주면 피사체만을 돋보이게 찍음으로써 곤충이나 꽃에 생명감을 불어 넣을수도 있다. 손거울이 있으면 꽃술이나 꽃잎에 부분적으로 빛을 쬐여 주는 것도 좋다.

 

찍을 때는 쑥스럽지만 찍고나면 즐거운 기념 촬영

1.좋은 기념사진은 장소, 계절, 시간이라는 3요소가 사진에서 느껴질 수 있는 사진이다. 여기서 시간이란 아침, , 저녁, 밤 등을 말하며 이런 3요소가 표현되는 사진기법을 염두에 두는 것이 좋다.

 

2. 타이머를 작동시켜 촬영 할 때에는 뷰 파인더를 아이피스 캡으로 가리는 것이 좋다. 그렇지 않으면 사진이 흐리게 찍히기 쉽다. 준비가 안되었을 경우 손수건 같은 것으로 가려주는 것도 좋다. (, 일안리플렉스 카메라인 경우에 한한다.)

 

3. 많은 사람이 들어가는 단체사진에서는 가운데 줄 보다 약간 앞쪽에 초점을 맞추고 조리개를 조여주는 것(f16에 가깝게)이 좋다. 삼각대를 사용하면 구석까지 뚜렷이 찍을 수 있다.

 

4. 전경을 넣어서 기념촬영을 하다보면 인물이 깨알같이 작아질 때가 있다. 이럴 때에는 찍고자 하는 인물의 상반신을 화면 한쪽에 크게 세워 놓고 건물이나 폭포는 멀게하여 전경을 넣어주면 된다.

 

한 번쯤 도전해보고 싶은 불꽃놀이(폭죽) 촬영

1. 불꽃이 올라가는 하늘을 향해 카메라를 삼각대에 고정시켜 놓고 ISO 100의 경우 조리개를 f 8-11에 설정한 다음 셔터를 B셔터로 다 열어놓은 채 렌즈 앞을 검은 종이로 가려두었다가 불꽃이 터질 때만 렌즈 앞을 열어준다.

 

2. 화려하게 찍을려면 불꽃이 올라갈 때마다 가리개를 열어줌으로써, 원하는 수효 만큼의 불꽃을 화면에 찍을수가 있다. , 같은 장소에서 여러개의 불꽃이 찍히면 지저분하고 복잡해지므로 카메라의 방향을 약간씩 이동시켜 주면 화면 가득히 펼쳐 넣을 수 있다.

 

3. 한가지 주의할 점은 바람을 등져서 찍지 않으면 불꽃이 터지면서 생긴 연기 때문에 불꽃이 흐릿해지는 경우가 있다.

 

언젠간 필요할지도 모르는 꼭 필요한 사진촬영 상식

 

1. TV화면을 찍고 싶을때

TV의 화면의 영상을 찍을 때에는 1/15(1/30)초 이하의 셔터로 찍어야 한다. 조리개는 f8이나 f5.6정도로 방안의 다른 광선을 모두 꺼야 깨끗이 찍힌다. TV의 브라운관의 광선은 파란빛을 띄므로 컬러로 찍을 때에는 언버(갈색)계통의 필터를 끼면 좋다. 컴퓨터, 그래픽 화면을 찍을 때의 요령도 TV화면의 찍을 경우와 같다. *TV주사선의 영향

 

2. 파인더를 안쓰는 촬영법

군중이나 장애물 건너편에 있는 광경을 찍을 때, 하이앵글에서 찍고자 할 때에는 광각렌즈를 부착한 카메라를 삼각대 위에 고정시켜 높이 쳐들고 자동셔터로 방향을 짐작하여 찍을 수 있다. 이런 방법은 찍히는 이에게 들키지 않고 찍는 방법으로도 이용된다. *노파인더촬영 *2점조절법

 

3. 자기모습 찍기(셀프 포트레이트)

카메라를 가진 사람에게는 자기를 찍은 사진이 흔치 않기 때문에 때때로 자화상을 찍어둘만 하다. 우선 적당한 곳을 골라서 거울을 들고 자기 얼굴을 보면서 빛과 그늘로 이루어진 영상이 알맞은 가를 확인한다. 다음에 일정한 거리(이 거리가 초점을 맞출거리임)를 두고서 벽에 표시 해두면 된다. *셀프 타이머

 

4. 플래시로 찍을때의 주의점

플래시를 터뜨려서 찍은 사진은 대개 그림자가 머리 뒤나 등뒤에 생겨서 인상이 딱딱해지기 쉽고, 얼굴도 편편하게 나오기 쉽다. 이런 결점을 없애기 위해서 스트로보나 플래시 앞에 트레싱페이퍼나 가아제를 덮어서 빛을 약하게 하고 확산광으로 촬영하면 좋다. 또 가능하면 천정이나 벽에다 대고 스트로보를 터뜨려 방안에 반사광이 돌게 하여 찍으면 부드럽게 찍을 수 있다. 이때 찍히는 인물의 얼굴이 너무 어두워지는 듯하면 카메라와 같이 하얀종이를 얼굴을 향해 들고 찍으면 종이에 부딛친 만큼의 광선으로 말미암아 얼굴이 밝아진다. 이상과 같은 방법들로 찍을때는 그만큼 직사광선이 약해지므로 조리개를 한 두 스톱 더 열어 주어야 하는데 장소의 넓이에 따른 그때 마다의 결정 경험에 의할 수밖에 없다.*라이트디퓨저 *바운스라이트

 

5. 편리한 정초점 촬영법

보통 표준렌즈가 달린 일안리플렉스 카메라를 조리게 f11에 놓고 거리를 7m에 맞추어두고는 셔터를 여름=1/250,1/125, 겨울 1/60로 찍으면 3m에서 무한원까지 뚜렷히 찍힌다. (, 오전 10~ 오후 4시까지) 집에서 카메라를 들고 나설때에 항상 이런식으로 맞춰 놓고 나서면 무엇이든 눈에 뛰는것 (3m 이상의 거리의 것이면 무엇이든)을 스냅촬영 할 수 있다. 특히 일일이 카메라를 맞추다가 놓치고 마는 피사체 일 때 이용할만 하다. * B.D.E. *2점조절법

 

6. 한 가운데 놓은 피사체

찍고자 하는 것을 언제나 중앙에 놓지 않는 것도 촬영 요령중 하나이다.

 

7. 가로화면과 세로화면

화면을 세로로 세워서 찍으면 그것을 보는 시선이 상하로 길게 이동하게 되므로 깊고 멀고 높은 것을 보기에 알맞다. 따라서 그런 뜻을 담은 화면구성에 이용해 볼만하다.

 

8. 부분사진과 전체사진

부분은 전체를 말해준다는 격언이 있다. 전부를 모두 찍어보지 않고 어떤 특징적인 일부분만 찍어도 전체를 넉넉히 짐작케 한다는 뜻이고 그것이 전부를 보는 것 보다 상상력을 더 자극하게 한다.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