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식 없는 문장의 진실내용은 사물가치나 진위를 감정 식별해야 (2)
가식 없는 문장의 진실내용은 사물가치나 진위를 감정 식별해야 (2) (이어서 계속) 요컨대 삶은 생으로서의 이름에 ‘충실성(忠實性)’으로 응답함으로써 생존의 법에 열중하는 것입니다. 이때 삶은 ‘생’이라는 이름이 가지고 있는 치명적인 균열을 인식하고 있지만 그 균열에 투신(投身)하여 스스로 봉합합니다. 여기서 숭고한 삶은 생의 이름을 남기게 되는 것입니다. 작가는 한 삶의 공고(鞏固)한 상징에 인간적인 고뇌와 감각의 세부를 불어넣습니다. 역사적 인물을 통해 시대의 ‘이면’을 드러내는 작업은 거대 담론에 대한 비판적 기능을 하는 불온성(不穩性)을 갖습니다. 이때 과거의 역사는 부정한 내면을 드러내고 거짓의 ‘장계(長計)’는 거짓의 역사를 질타(叱咤)하는 힘을 갖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문제는 ‘헛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