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岳岩漢字屋

甲辰年 새해 하시는 일들이 日就月將하시고 乘勝長驅.하시고 萬事亨通 하세요!!!

반응형

시경(詩經)


시경(詩經)


중국(中國)에서 가장 오래된 시문(詩文)의 선집(選集)으로서, 이것은 주대(周代인 BC 800~600 년대에 편찬(編纂)되었다. 내용은 국풍(國風). 주(周), 노(魯), 상(商) 등 15개국의 송(訟)과 대아(大雅)와 소아(小雅)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국풍(國風)이란 황하(黃河) 유역 15개국의 민요이고, 송(訟)은 종묘에 제사지낼 때 부른 악가(樂歌)를 말하며, 대아(大雅), 소아(小雅)는 주(周)의 조정에서 부른 의례적인 성격이 강한 악가(樂歌)를 말한다. 1구(句) 4자(字)로 되풀이되는 것이 많고, 민간에서 행해지던 대중적인 리듬을 엿볼 수 있다고 한다.


시대적으로는 기원전 11~8 세기가나에 걸친 것이 수록(收錄)되어 있다.


공자(孔子; 이름은 丘), 자(字)는 중니(仲尼, BC 552~497)가 편찬했다는 설이 있으나 확실치가 않다. 공자(孔子)가 "시경(詩經)"을 중히 여겨 2천 수의 고시(古詩)에서 300수를 추려서 교재(敎材)로 삼은 이후, 유가(儒家)의 필독서(必讀書)로 한데서 그의 편찬설(編纂說)이 유력해진 것 같다. 어쨌든 "시경(詩經)"은 유가(儒家)의 경전(經典)으로 되어 도덕적(道德的)인 해석이 내려졌지만 국풍(國風) 등은 소박한 백성들의 감정(感情)을 노래한 것이 많고 또 남녀간의 사랑을 읊은 작품도 있어서 문학적(文學的)으로도 재미있는 것이 적지 않다.


옛날에는 단순히 '시(詩)'라고 불리었으나 "시경(詩經)"이라고 불리기 시작한 것은 송대(宋代, 960~1127)부터이다.


1) 시경(詩經)이란?

-『詩經』은 중국 최초의 시가 전집이다. 『詩經』이 만들어진 연대는, 서주(西周) 초기(기원전 1122)로부터 주 정왕(周 定王) 8년 (기원전 599)까지 약 500 년 동안으로, 그 분포는 황하 유역이 중심이다. 다만, 남방의 시가가 조금 들어있으나, 시경은 북방 문학을 대표하며, 모두 305편이 실려 있는데, 풍〔風(國風)〕, 소아(小雅), 대아(大雅), 송(頌)의 네 부분으로 크게 나뉜다. 『시경』에 수록된 네 부류의 시가들은 각 제후국에서 유행했던 민간가요의 가사, 왕의 직할지에서 유행했던 시가, 왕실의 연회나 의식에 쓰이던 시가, 종묘의 제사에 불리던 노래의 가사 등이다. 『시경』에 실린 시들은 대부분 작자가 미상이며, 노래의 가사가 대부분으로서 원래의 모습 그대로가 아니라 후세 사람들의 손을 거쳐 편집, 기록되었다. 


2) 공자산시설(孔子刪詩說)

-『시경』은 전통적으로 공자(B.C.522~B.C.479)에 의해 편집되었다고 생각되어 왔다. 이것이 바로 ‘공자산시설’이다.漢나라의 司馬遷의 『史記』의 <공자세가(孔子世家)>中


“옛날에는 시가 3천여편이었는데 공자에 이르러 중복된 것은 버리고 예의에 시용(施用)할 수 있는 것만 취하였다.”


곧 본래 채집된 시의 수는 수천 편이나 되었는데 공자에 의하여 모두 산거(刪去)되고 겨우 3백여 편만이 남았다는 것이다. 후세의 많은 학자들이 이 학설에 동조했지만, 공자의 산시설을 단정적으로 믿기는 어려우며, 이 학설을 부정하는 학자도 많았다. 공자가 『시경』에 대하여 무한한 흥미와 관심을 가졌던 것만은 사실이었다. 그것은 그가 『시경』에 대하여 여러 차례 언급한 말에서 알 수 있다. 공자는 음악을 가장 좋아했고, 또 음악에 통달한 사람이었는데, 공자의 시에 대한 관심과 공부가 결국은 후인으로부터 산시(刪詩)의 죄인으로 오인 받게 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3) 공자(孔子)와 시경(詩經)

-『시경』은 문학작품이라기보다는 유가의 경전으로 생각되어 왔는데, 이것은 공자가 『시경』의 ‘교육적 기능’과 ‘정치적 효용’을 강조한 이래 오랜 세월동안 문학적 성격보다 교육적 기능과 윤리적․정치적 효용성 등이 더 중시되면서 유가와 깊은 관계를 맺어 왔기 때문이다. 공자산시설의 사실 여부를 떠나서, 공자는 『시경』을 제자들의 교과서로 사용하면서 나름대로의 공헌을 한 것만은 사실이다. 공자는 『논어(論語)』「위정편(爲政篇)」에서 “시 3백 편의 뜻을 한마디로 말하면 생각에 사악함이 없다는 것이다.(詩三百.一言以蔽之, 曰, 思無邪.)”라고 하면서 ‘온유돈후(溫柔敦厚)’한 인성의 도야를 중시하였다. 공자의 이러한 『시경』에 대한 애착은 비록 문학적이기보다는 정치적인 이유이긴 했지만, 후대 문학발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4) 유가의 『시경』해석 관점

-공자의 『시경』에 대한 관점이 오랜 세월동안 교육적․윤리적․정치적 효용으로 중시되어 왔으며, 공자 당시에 이미 상당히 구체화되었던 이러한 인식은 이후 『시경』에 대한 유가적 해석의 일관된 경향을 이루게 되었다. 공자의 뒤를 이어 『시경』에 대한 인식과 해석에 큰 영향을 미친 사람들은 맹자(孟子)와 순자(荀子)로 대표되는 유가사상가들이었다. 漢代에 들어와서는 『시경』에 대한 해석이 한층 다양하고 복잡해졌다. 그 이유는 유가사상이 한나라의 공식적인 정치이념이 됨에 따라 『시경』의 해설 또한 이전의 해설을 포함하면서 거기에 덧붙여 당시의 정치체제를 합리화하고 옹호하는 기능을 해야했기 때문이다. 『시경』은 자고로 전한 사람에 따라서 노시(魯詩), 제시(齊詩), 한시(漢詩), 모시(毛詩) 등으로 불린다. 魯나라 사람 신배(申培)가 전한 『시경』을 魯詩, 齊나라의 원고생(轅固生)이 전한 것을 齊詩, 燕나라의 한영(韓嬰)이 전한 것을 漢詩, 魯나라의 모형(毛亨)이 전한 것을 毛詩라고 한다.

후세에 三家詩라고 일컬어진 西漢때 나온 魯詩, 齊詩, 漢詩는 모두 실전(失傳) 되었고 현존하는 『시경』은 毛詩이다. 『毛詩』는 서한 때에는 삼가시에 밀려 공인 받지 못했으나 동한 때에 정현(鄭玄)이 『毛詩』를 보충한 『毛詩箋』을 쓴 뒤부터 삼가시를 제치고 가장 높은 평가를 받게 되었다. 그러나 『毛詩』또한 다른 유가적 해설과 기본적으로 똑같이 『시경』을 유가의 경전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보다 발전된 확고한 윤리적․정치적 효용 중시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가적 문학관은 구체적인 시 해석상에서 왜곡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남녀의 애정에 관한 작품이나 서민의 어려운 생활상을 노래한 작품들도 윤리적이고 정치적인 관점에서 풀이하였다. 이를테면, 남녀관계를 노래한 민가들을 왕비의 덕을 노래한 것으로 해석한다든가, 사회적인 불만을 노래한 민가들을 夫人의 덕을 노래한 시라고 해석한 경우가 그 전형적인 예이다. 그러나 『모시』의 이러한 『시경』에 대한 인식과 해석은 후세의 『시경』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중국 전통문학의 중심을 이루어 온 시의 발전과 시론의 형성 과정에 폭넓게 잠재하고 있다.


5) 『시경』의 내용

(1) 생동감 넘치는 사회의 풍경화―국풍(國風)

-『시경』의 많은 시에는 西周때부터 춘추시대 중엽에 이르는 시기의 사회 모습이 광범위하고도 심도 있게 반영되어 있다. 주나라에는 채시采詩의 제도가 있었다. 각 지역의 민가가요를 전문적으로 수집하는 전문 관리가 있어 조정에서 민간의 정서와 풍속․정치 등의 득실을 살필 수 있도록 했다. 그래서 민중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한 시편들이 이후에까지 전해질 수 있었던 것이다.

 

 ▶국풍(國風)

 국풍은 여러 제후국에서 유행했던 민가를 모아놓은 것으로 모두 15개국의 시가가 160편 수록되어 있다. 『시경』중에서 국풍이 문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연애와 결혼을 소재로 한 서정시적 성격의 민가가 국풍의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교재 41쪽 ‘관저(關雎)’ 참조) 예술성 또한 매우 뛰어나, 애정생활 속의 갖가지 모습과 심리가 모두 질박하면서도 진실한 노래로 표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국풍은 여러 제후국의 민간 노래이기 때문에 일반 생활의 모습을 잘 반영하고 있다. 국풍은 고대 민요의 반복적인 형태와 생동감 넘치는 표현의 특성을 잘 느끼게 해주며, 詩型이 四言으로 다듬어져 있고, 압운(押韻)이 고려되고 있으며, 여러 가지 수사기교가 고도로 발휘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문학적 수준이 이미 높은 단계에 도달해 있음을 알 수 있다. 국풍에서는 다양한 주제와 소재가 다루어지고 있지만 남녀관계를 다룬 시에 이어 그 다음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시는 어려운 생활상과 사회의 모순을 표현한 시들이다. (교재 42쪽 ‘석서(碩鼠)’ 참조)

『시경』의 사회시의 중요한 문학사적 의의는, 『시경』으로부터 시작된 사회시가 한 대의 악부시樂府詩로 이어졌으며, 唐代에 와서는 두보(杜甫)와 백거이(白居易) 등에 의해 고도의 성취를 이루었다는 데에 있다.   


(2) 운(韻)이 담긴 역사― 아(雅)와 송(頌)

-『시경』의 「아(雅)」와 「송(頌)」은 모두 주나라 때의 통치계층이 어떤 특정한 상황에서 사용하던 악가(樂歌)로, 이것들은 당시의 경제․군사․정치 등에 관한 상황을 서로 다른 측면에서 반영하고 있다.


▶소아(小雅)와 대아(大雅)

아(雅)는 小雅와 大雅로 분류된다. 소아는 모두 74편으로, 서주 근기 일대의 시가로서, 궁정의 악가로서 연회와 전례 때에 불려졌다. 이들 시의 내용은 연회, 전쟁, 폭정, 연정 등 다양하다. 대아는 모두 31편이다. 역시 궁정의 악가로서 융숭한 연회, 전례 때에 사용하였다. 이렇게 볼 때 소아와 대아는 궁중을 중심으로 하여 사대부들 사이에서 주로 유행했던 시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때문에 꾸밈없고 솔직한 서정 위주의 국풍보다는 형식적이고 교훈적인 경향이 강하며 서사적인 경향의 작품도 있다. 그리고 소아보다는 대아가 더 형식적이고 설교적인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국풍의 반 이상이 서정시인 반면에 대아의 반 이상은 서사시이다. 말하자면, 시의 생동감 측면에서는 국풍이 가장 앞서고 그 다음이 소아이며 대아가 가장 추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형태적 세련미와 기교의 측면에서는 반대로 대아가 가장 앞선다. (교재 45쪽~48쪽 ‘鹿鳴’, ‘文王’ 참조)


▶송(頌)

 송은 周頌, 魯頌, 商頌으로 나누는데, 모두 사람과 사물을 칭송하는 시가이다. 

•주송(周頌): 주송은 모두 31편으로 서주 초기의 작품이며, 대부분이 소왕, 목왕 이전의 작품이다. 그 내용은 선조를 제사하는 시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사직, 천지, 하악(河嶽), 백신(百神) 등을 제사하는 것이다. 주송의 시가는 길이도 짧고 분장(分章)도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표현 또한 세련되지 못하고 기교도 소박하지만 시기상으로 매우 빠른 시가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또한 서주 초의 상황을 알 수 있는 역사적 자료로서도 중요하다.  

•노송(魯頌): 노송은 모두 4편이다. 노송 4편은 희공, 문공 때의 것으로 동주 시기의 작품이다. 주송이 종묘의 악가인데 비하여 노송은 모두 군왕에 대한 찬양이다. 

•상송(商頌): 상송은 모두 5편이다. 그러나 상송은 商의 노래가 아니다. 상의 후예를 宋에 봉하였는데, 송나라 사람이 정리해 낸 상조의 송가(頌歌)로서, 사실은 송의 제례가이다. 노송과 상송은 시기적으로 주송보다 상당히 나중에 나온 작품들로서 분장이 되어 있고 길이도 상당히 길며 표현기교도 세련되어 있지만 주송과 같은 중후한 제가의 모습이 별로 보이지 않으며 화려한 수사와 형식미가 두드러진다. 


6) 『시경』의 작법(作法)

-시경의 작법을 부(賦), 비(比), 흥(興)의 세 가지로 분류한다. 부는 직서법, 비는 상징법, 흥은 암시법을 말한다. 

•부(賦): 직접적인 묘사 방법을 말한다. 어떤 일을 직접적으로 서술하고 비유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비(比): 비의 작법은 상징적인 기교를 중요시한다. 비유 혹은 상징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작가가 A를 말하고자 하면 B를 인용하여 비유하여 묘사하는 것이다. 

•흥(興): 흥의 작법은 거듭 암시함에 있다. 흥은 바로 암시법으로 어떤 사물을 의탁하여 흥을 일으키는 것이다. 즉, 먼저 경물을 묘사하고 다음에 정감, 사물을 말하는 것으로 사실 그 뜻은 서로 관통하는 것이다.


7) 시경의 영향 및 문학사적 의의―찬란한 시발점

-『시경』은 당시의 사회적 현실을 진실 되고 깊이 있게 반영했다는 점, 즉 선명한 현실성과 강렬한 인민성은 중국문학에 있어서 현실주의 전통의 찬란한 출발점이 되고 있다. 특히 시경의 사회시는 악부시로 이어져 후대에 두보와 백거이로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시되고 있다. 다음으로, 『시경』의 예술적 기교를 비롯한 표현 기법은 이후의 시가 창작에 매우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시경』은 중장첩구(重章疊句)의 형식을 활용함으로써 시가의 음악성과 리듬감을 강화시켰다. 뿐만 아니라, 첩자(疊字)․쌍성(雙聲)․첩운(疊韻)등의 수사법을 운용함으로써 섬세하고 기복 많은 사상과 감정을 잘 표현해내는 한편 사물의 형태적 특징도 묘사해냈다. 이러한 점은 언어 예술적인 측면에서 후인들에게 아주 성공적인 경험을 제공해주었다. 


♣참고문헌:

中國文學槪論, 이수웅 저, 서울: 대한교과서, 1993.

(改訂版) 中國文學史. 정범진, 서울: 學硏社, 1994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