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이 성공하여 함께 즐긴다는 가여락성(可與樂成)의 유래
일이 성공하여 함께 즐긴다는 가여락성(可與樂成)의 유래 풀이: 옳을 가(可), 줄 여(與), 풍류 악(樂), 이룰 성(成). 요약: 일이 성공하여 함께 즐긴다. 출전(出典): "사기(史記)" '상군열전(商君列傳)’옳을 가(可)의 구성(構成)은 입(口)의 모양(模樣)을 상형(象形)한 입 구(口)와 ‘ㄱ’자모양(模樣)의 농기구(農器具), 혹은 ‘숨막힐 고(亏)의 자형(字形) 하부(下部)로 이루어진다. 가(可)에 대한 해석(解釋)은 두 개로 나뉜다. ‘ㄱ’자 모양(模樣)의 농기구(農器具)로 땅을 일구면서 입(口)으로 노래를 부른다는 것과 누군가 뭔가를 요청(邀請)했을 때 잠시(暫時)의 주저(躊躇)함도 없이(ㄱ), ‘숨 막힐 고(亏)’의 반대 모양의 입(口)에서 나오는 소리는 곧 ‘옳다(是)’거나 ‘허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