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岳岩漢字屋

甲辰年 새해 하시는 일들이 日就月將하시고 乘勝長驅.하시고 萬事亨通 하세요!!!

반응형

칭기즈칸의 후예, 몽골족의 삶과 문화 _ 이선화

 

초원을 달렸던 칭기즈칸의 후예이자, 중국의 대표적인 소수민족 중의 하나인 몽골족들의 삶과 문화에 대해서 살펴보자. 중국은 한족과 55개의 소수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이다. 중국 전체 13 6천만의 인구 중에 몽골족은 약 590만 명으로 소수민족 중에 아홉 번째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몽골공화국의 약 280만 인구의 두 배에 달하는 숫자로, 몽골공화국보다 더 많은 몽골족들이 중국에서 생활하고 있다. 그 중의 절반인 약 300만 명 이상이 네이멍구 자치구에서 거주하고 있다. 몽골족들은 몽골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13세기 경 위구르의 문자를 가져와 표기한 위구르식 몽골 문자를 사용한다. 이는 몽골공화국의 몽골족들이 구소련의 영향으로 1941년부터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사진  1   소에게 물을 주는 목축민

 

 몽골족들은 중국 북방의 초원지역에서 대대로 유목(遊牧) 생활을 하였다. 초원 지역은 여름이 짧고 겨울이 길며, 강수량이 적어 농업보다는 목축에 적합한 기후이다. 그들은 소, , 염소, , 낙타 등을 기르는데, 계절마다 목축에 적합한 초지를 찾아 이동하며 생활해왔다. 몽골족들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에 따라 적합한 초지를 찾아 움직이며 가축들을 방목한다. 필자가 조사했던 초지의 규모가 작은 몽골족 마을에서는 사계절이 아닌 여름방목지와 겨울방목지의 두 지역으로 나뉘어 있었다. 겨울방목지에서는 풀베기가 끝난 가을부터 가축을 기르고, 여름방목지에서는 이듬 해 초여름이 되어서야 가축을 이동시켜 방목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몽골족들의 유목 생활 방식은 그들의 주거문화에도 드러난다. 몽골족들은 계절에 따른 이동의 편리를 위해서 게르라고 하는 이동식 집에서 생활한다. 게르는 나무로 만든 뼈대에 펠트나 가죽을 덮어 만들었기 때문에 분해와 조립이 쉬워 이동생활에 적합하다

 

몽골족들의 옷은 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의 두루마기와 비슷하게 윗옷과 아래옷이 하나로 연결되어 소매가 달린 헐렁한 가운이며, 앞섶이 겹쳐지는 형태이다. 몽골 전통의상은 화려한 장식을 한 띠로 허리를 묶고, 전통모자인 말가이와 가죽으로 만든 장화인 고탈을 신으면 완성된다.

 

몽골족들이 먹는 음식은 그들이 기른 가축에서 나오는 유제품과 고기로 만든 것들이다.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양고기나 소고기를 삶아서 손으로 칼을 이용해 잘라먹는 서우바러우(手把肉)’가 있다. 몽골족들은 손님이 오면 서우바러우를 대접하는데, 좋은 고기의 부위를 직접 잘라 손님에게 건네주는 것이 예의이다. 몽골식 만두는 고기와 두부 및 각종 채소를 넣고 만든 한국식 만두와는 달리, 다진 양고기에 약간의 파가 들어간 큼지막한 고기 위주의 만두이다. 여름에는 양을 잡아 양고기를 주로 먹으며, 늦가을에는 집집마다 소를 한 마리씩 잡아서 겨우내 식량으로 이용한다. 여름에는 날씨가 따뜻해서 채소를 직접 기르거나 구입해서 먹을 기회가 있지만, 춥고 긴 겨울동안에는 신선한 채소를 구입하기도 어렵고 재배해서 먹기도 힘들기 때문에 주로 가을에 만들어 둔 절임채소를 먹으며 겨울을 난다.

 

몽골족들이 마시는 술은 말의 젖을 발효시켜 만든 마나이주(馬奶酒)’이다. 또한 그들은 전차(磚茶)에 우유를 넣어 만든 나이차(奶茶)를 즐겨 마신다. ‘차간이더(查干依德)’는 몽골어로 유제품을 총칭하는 말로, 치즈와 유사한 나이떠우푸(奶豆腐)’ 등을 만들어 나이차에 넣어 마시거나 간식으로 즐겨 먹는다.

 

개혁개방 이전까지 몽골족들은 마을 집체 단위로 초지와 가축을 공유하고 유목을 하며 생활해왔다. 개혁개방 이후, 공동으로 소유하던 초지와 가축은 개별 가정에 분배되었다. 몽골족들은 일 년 중 가장 긴 시간을 머무는 겨울방목지에 흙집이나 벽돌집을 짓고 정착을 시작하였으며, 게르는 주거에서 보조적인 역할만을 담당하게 되었다. 그리고 게르는 관광지에서 소수민족의 전통문화를 체험하는 관광상품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전통적으로 몽골족들의 주요한 이동수단은 말이었다. 칭기즈칸이 전 세계를 누빌 수 있었던 발의 역할을 한 것도 말이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서 이동의 역할을 오토바이와 자동차가 대신하게 되면서, 목초를 많이 소비하고 이동범위가 큰 말의 목축두수는 크게 줄어들었다. 역시 이동의 역할을 담당하였던 낙타는 일반가정집에서보다는 초원 관광지에서 낙타체험으로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이전에는 다양한 가축들을 길렀던 반면에, 몽골족들도 시장경제에 적극적으로 편입되면서, 최근에는 고기 판매를 통해 소득을 증진할 수 있는 소나 양의 단일품종을 집중적으로 방목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사진  2   나담의 씨름 경기와 구경꾼

 

몽골족들의 가장 큰 명절은 나담(那达慕)’으로, 북방민족의 세시풍속이었던 것을 원()의 칭기즈칸이 공식화하면서 몽골족의 축제로 자리 잡았다. 나담 축제는 풀이 가장 푸르고, 가축이 살찌는 여름의 한가운데인 7월경에 개최되며, 씨름, 말타기, 활쏘기와 같은 몽골족 전통 놀이 시합이 열린다. 몽골족들은 먼저 오보(敖包)’에 기도드리는 것으로 나담 축제를 시작한다. 오보는 신성한 돌무더기로, 우리의 서낭당과 유사한 형태를 띠며, 샤머니즘과 라마불교가 결합되어 현재까지 남아있는 민간신앙이다. 한족에게 가장 큰 명절은 춘절(春節, 음력 설날)인데 반해, 몽골족들의 가장 큰 명절은 나담 축제 기간으로, 마을 단위에서, 지역 단위에서, 자치구 단위에서 전통 놀이 시합뿐만 아니라 전통음악회, 각종 공연 등과 같은 문화 예술 활동이 열린다. 이 기간에는 몽골공화국으로부터 유명한 씨름선수나 마두금(馬頭琴) 연주자들이 네이멍구를 방문하여 축제를 더욱 빛내기도 한다.

 

사진  3   하객에게 마나이주를 올리는 신랑신부

 

 관혼상제 중 하나인 혼례는 겨우내 가축에게 먹일 풀베기가 끝나고 난 늦가을, 목한기(牧閑期)에 주로 열린다. 신랑과 신부, 친지들은 전통의상인 델을 입고 혼례에 참석한다. 하객들은 한족 풍습인 홍바오(紅包)를 주는 대신에, 모자를 쓰고 예의를 갖춘 후, 선물용 술과 하다(哈達)1) 위에 직접 축의금을 얹어서 혼주에게 준다. 하객들에게 혼주는 나이차를 대접하는데, 하객들은 나이차를 받아들고 엄지와 검지를 이용해 나이차를 세 번 튀기는 의례로 축원을 한다. 이는 하늘과 땅, 만물이 보살펴주시기를 기원하는 것이다. 식이 시작되면 신랑신부는 먼저 하객들에게 인사를 드리고 나서, 앞에 앉아 있는 신랑 부모님께 감사와 존경의 의미로 하다 위 술잔에 마나이주를 올린다. 부모는 답례로 신랑신부에게 순백의 깨끗함을 상징하는 우유를 건네주어 마시면, 신부가 신랑가족의 구성원으로 받아들여지는 절차가 완료된다. 이어서 식장의 가운데에 앉은 가까운 친척들을 시작으로, 신랑신부는 혼례에 온 손님들에게 술을 올린다. 하다 위에 두 개의 술잔을 놓고, 마나이주를 따라 손님들 한명 한명에게 모두 인사를 하고 술을 권한다. 손님들은 술을 받아 마시고 신랑신부의 축복을 비는 말을 하면서 빈 술잔에 돈을 얹어 돌려준다. 결혼식 내내 축복을 기원하는 마을주민들의 축가가 끊이지 않으며, 혼례에 참석한 필자도 아리랑으로 신랑신부의 축복을 빌어준 적이 있었다.

 

이처럼 몽골족들은 북방 초원지역에서 목축이 주가 되는 생활방식을 유지해왔으며, 의식주, 민간신앙, 명절, 혼례 등과 같은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 그들만의 독특한 문화를 유지해오고 있다

 

이선화 _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연구교수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