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가정이 국가의 심장인가 글: 김성원 필자가 돌아보는 2020년의 대한민국은 상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위기를 한꺼번에 맞은 듯하다. 그 중심에는 종교의 자유에 대한 위협, 코로나 위기, 경제 침체 현상, 미·중 패권 전쟁에 따른 외교 안보의 위기, 국민들의 실제 삶과 동떨어진 국회의 입법 경쟁 등 대한민국의 제도와 미래를 위협하는 도전들이 서 있다. 대한민국의 번영과 미래에 대해 고심하는 사람들은 ‘과연 내 생에 이렇게 많은 문제가 한꺼번에 올 수 있을까’하는 생각을 하며 깊은 고민의 나날을 보내고 있으리라. 이 나라의 계속성과 가치 그리고 근본적 단위를 뿌리부터 흔들고 있는 차별 금지법, 낙태 관련 법, 전통적인 기독교 성(性) 윤리에 대한 도전, 페미니즘의 유행, 남녀 갈등, 결혼 기피 현상 등의..
“대한민국은 지금 교육 패전국이나 다름없어” 글: 박주연 6·1지방선거가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함께 치러지는 시도교육감 선거도 벌써 달아오르기 시작했다. 특히 교육계의 상징성이 강한 서울시교육감 선거를 준비하는 중도·보수진영의 후보들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모양새다. 은 그 가운데 한 명인 박선영 전 동국대 교수와의 인터뷰를 게재한다. 현재 서울시교육감 예비후보 등록자는 박 교수 외에 조영달 서울대 교수, 조전혁 서울시혁신공정위원회 위원장으로 알려졌다. - 우선 현 정권의 교육정책을 어떻게 평가하시는지요. 문재인 정권의 교육정책은 원칙도 철학도 없었습니다. 정책 추진 과정에서 오락가락하기 일쑤여서 학생과 학부모들의 혼란은 이루 말할 수 없었어요. 특히 ‘조국 사태’로 대표되는 입시 비리 문제로 공정에..
마카오반환 21주년에 덩샤오핑의 미래를 보는 안목을 다시 생각한다. 글: 신강균 오늘 12월 20일은 포루투칼의 식민지였던 마카오가 중국에 반환된지 21년이 되는 날이다. 이날 오전 마카오특별행정구의 진리엔화 광장 ( 金莲花广场)에서는 반환기념식이 거행됐다. 지난해 12월 20일에는 시진핑 주석내외가 참석한 가운데, 반환 20주년 기념식을 성대하게 진행해, 홍콩에 보란듯이, 마카오의 1국 2체제의 안정과 발전을 과시하기도 했다. 마카오는 2000년 밀레니엄 열흘전인 1999년 12월 20일 , 홍콩 ( 1997년 7월 1일 반환)보다 약 2년 늦게 중국에 정식으로 반환됐다. 현재 상주인구는 약 70만명으로 추산되고, 면적인 서울 강남구보다 조금 작은 32만 평방킬로미터이다. 홍콩의 식민역사를 1892년 ..
성장과 자립, 두 마리 토끼 잡겠다는 쌍순환 전략 글: 이충형 냉전 후반기인 1980년대 미국의 적은 소련, 또 하나 일본이었다. 두 나라가 미국에 위협을 주는 방식은 달랐다. 소련은 미국과 군사적으로 대립했다. 경제적으론 미국이 주도하는 서구 자본주의에 맞서 동구권 공산국가들과 사회주의 경제 블록을 형성했다. 자원의 이동, 상품 생산과 소비가 블록 안에서 이뤄졌다. 일본은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 미국의 경쟁자로 부상했다. 양국의 활발한 무역 속에서 커져가는 적자 폭은 미국의 안보 위협이 됐다. 소련이 체제 밖 적이었다면 일본은 체제 안의 적이었다. 현재 미국이 최대 위협으로 꼽는 중국은 어떤 성격의 적수일까. 2020년 5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회에서 쌍순환(雙循環)이라..
왜 중국인들에게 "입장(立場)"만 있고, "시비(是非)"는 없게 되었는가 글: 청운(靑雲) 중국인이라면, 모두 "입장을 확실히 한다(站穩立場)"는 말이 낯설지 않을 것이다. 중국과 사회 및 중국의 사회의 정치적 주선율과 이해충돌. 무엇이 "입장"인가? 모택동의 '최고지시' 하나가 바로 '입장'이 무엇인지 설명한다: "무릇 적이 반대하는 것은 우리가 옹호한다. 무릇 적이 옹호하는 것은 우리가 반대한다!" 허난성의 어느 국장이 기자에게 이렇게 소리친 적이 있다: "너는 당을 위해서 얘기하는 거냐? 아니면 군중을 위해서 얘기하는 거냐?" 이는 '입장을 확실히 한다'는 것이 여전히 중국관료사회의 정치적 주선율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입장"의 본질은 "상황을 잘 깨달아서 줄을 잘 서는 것"이다. 세력만 보지 사람..
"국내용" 딩하오(丁浩)는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까? 글: 약백(若白) 2019년이래, 세계바둑계에서 공인된 6대고수는 차례로, 세계대회8관왕 커제, 3관왕 신진서, 5관왕 박정환, 2관왕 미위팅과 1관에 그쳤지만 구쯔하오와 양딩신이다. 현재 그들의 지위에 도전할 수 있는 두드러진 기사는 한국의 신민준, 변상일과 중국의 딩하오등 3명의 젊은 기사들이다. 3명중, 신민준은 2021년 2월 커제를 물리치고 제26회 LG배를 차지한 바 있으나 그후 계속 부진하며, 최근 한국랭킹에서도 5위밖으로 밀려났다; 변상일은 여전히 랭킹에서 3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고, 작년 제7회 국수산맥배라는 국제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중국의 딩하오는 전형적인 '국내용'(방안퉁수)이다. 3년동안 4개의 국내대회우승을 차지했고..
화웨이, 미국 제재에도 세계 통신장비시장 1위 지켜 글: 황혜선 중국 화웨이(華爲)가 14억 인구의 중국 내수 시장에 힘입어 세계 통신장비 시장 1위 자리를 지켜냈다. 미국의 강력한 제재 속에서도 이뤄낸 성과여서 주목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6일 시장조사업체 보고서를 인용해 화웨이가 지난해 약 1000억 달러(약 124조 원) 규모의 세계 통신장비 시장에서 28%의 점유율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점유율 2위는 핀란드 노키아(약 16%), 3위는 스웨덴 에릭슨(약 15%)이 각각 차지했다. 화웨이는 미중 무역 갈등이 시작된 2018년부터 미국의 고강도 제재를 받아 해외 시장에서는 입지가 상당 부분 축소됐다. 미국의 제재 여파로 지난해 매출도 30%가량 줄었다. 하지만 중국 내수 시장..
홍콩행정장관 직선제에 대한 사실관계, 중영이 합의한 홍콩기본법에 없는 조항. 글: 신강균 영국의 홍콩총독관저(1945년), 1941년 말 일본이 홍콩을 침략하지 영국총독은 싱가포르로 피난했다. 일본이 항복한 1945년 8월 영국의 홍콩총독이 싱가포르에서 홍콩으로 돌아오는 행사장면, 바이두바이커캡쳐. 작금의 홍콩의 사태는 2010년대부터 홍콩의 반중세력들이 홍콩행정장관 직선제를 내세우면서 시작된 혼란의 산물이라는 논의가 있다. 중국과 홍콩은, 1997년 영국이 150여년을 식민지배했던 홍콩을 돌려주고, 중국은 150여년을 빼앗겼던 홍콩을 되돌려 받는 그런 관계였다. 두 나라는 향후 홍콩의 과도기간을 50년으로 정하고 홍콩기본법에 합의했다. 양국이 합의한 홍콩기본법에 따르면, 홍콩행정장관은 800명의 선거인..
중국인의 "이중기준(二重基準)" 글: 풍학영(馮學榮) 중국인들은 자주 외국인들에 대하여 "이중기준"이라고 비난한다. 즉, 자신에는 관대하고 남에게는 가혹하다는 것이다. 다만, 사실상, 일상생활에서 중국인들 자신도 많은 이중기준적인 행위를 한다. 듣기싫은 말로 하자면, 기실 중국인 자신도 "이중기준개"이다. 여기서 필자가 예를 한번 들어보겠다. 여러분들도 한번 보기 바란다: 사례1: 나의 여자친구 부친은 우리 집안이 가난하다고 싫어했다. 그건 잘못된 것이다. 그런데, 나중에 내가 아버지가 되고, 내 딸이 남자친구를 찾을 때, 나도 그의 남자친구집이 가난하면 싫다. 사례2: 나(황인종)은 흑인을 차별할 수 잇다. 그러나 백인이 우리 황인종을 차별해서는 안된다. 사례3: 내가 일본의 AV를 보는 것은 자랑스럽..
미중대두전(美中大豆戰): 중국의 참패 글: 재상천하(財商天下) 작년말, 중국지도자 시진핑은 "밥그릇은 자신의 손으로 들고 있어야 한다"고 말하면서, 중국의 농업농촌부에 대두생산확대를 금년에 반드시 완성해야할 '중대한 정치적 임무"로 규정했다. 그러나, 정치적 임무를 실현하기도 전에, 수입대두의 가격폭등사태가 일어났다. 그리하여 중국의 대두압착공장이 속속 가동중단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그렇다면, 중국 왜 대두수요를 수입에 고도로 의존하고 있을까? 이와 동시에 대두찌꺼기가격의 인상은 비록 돼지사료가격을 끌어올리지만, 돼지고기가격은 오히려 인하되었다. 이건 또 어찌된 일인가? 대두가격폭등과 대두생산확대가 정치적임무로 되다 우리는 먼저 대두가격폭등에 대한 중국당국의 반응부터 얘기해보자. 는 2월 20일자..
중국은 동계올림픽으로 세계와 얼마나 멀어지게 되었는가? 글: 종원(鍾原) 베이징동계올림픽이 2월 20일 폐막했다. 중국은 미국에서 훈련받은 에일린 구(谷愛凌)에 의존하여 미국을 금메달 수에서 4위로 밀어냈다. 중국의 금메달전략은 마침내 금메달수에서 미국을 넘어설 수 있었고, 제2대경제체로서 겨우겨우 동계올림픽의 3위에 올랐다. 다만, 동계올림픽의 여러 종목중에서 구미국가는 여전히 주인공이었다. 동계올림픽이 중국에 진정으로 무엇을 가져다 주었을까? 중국은 세계외 더욱 가까워졌을까? 아니면 더욱 멀어졌을까? 만일 메달수로 따지면, 중국은 금메달 9개, 은매달 4개, 동메달 2개로 합계 15개이며, 순위는 11위이다. 9개의 금메달은 중국이 얻은 15개 메달중 60%에 상당한다. 금메달 수는 은메달과 동메달을..
중국과 북한의 국경선획정 비화: 백두산과 압록강 작자: 일명(佚名) 백두산(장백산)은 지금까지 만주족이 기원한 '용맥(龍脈)'으로 여겨져 왔다. 장백산에 들어가서 산삼을 캐거나, 사냥을 하는 사람이 많아지자, 청나라조정은 이런 활동이 용맥을 끊을 수 있다는 우려를 해서, 동북지방에 대하여 200여년에 걸친 봉금정책(封禁政策)을 실시하여, 장백산(백두산)지구, 압록강, 토문강등 중국-조선변경지역을 '봉금'의 핵심지구로 삼아 진입을 엄금했다. 나중에 오랫동안의 봉금정책으로 동북변방지역은 사는 사람이 드물어져서 국경방어가 느슨해진다. 그리하여 심각한 국방위기를 초래하게 된다. 특히 청나라 도광이후 제정러시아등 열강의 침략확장으로 이 위기는 갈수록 심각해진다. 그리하여 조선의 변방주민들이 불법월경하는 사례가 늘..
시진핑과 홍얼다이(紅二代)가 철저히 갈라지게 된 3대원인 글: 연월일(年月日) 시진핑의 가장 위험한 적은 국외적대세력도 아니고, 반대파인사도 아니다. 시진핑은 최근 여러번에 걸쳐 특별히 당내집단을 언급했다. 그것이야말로 심복지환(心腹之患)이다. 보통집안 출신의 관리들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조심스럽고 몰래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정치적으로 집단을 만들만큼 담량은 없다. 황친국척(皇親國戚)인 홍얼다이는 특수한 집단이다. 기층조직도 어떻게 하지 못하고, 집법부서도 감히 건드리지 못한다. 그들 사이에서는 국사(國事)를 논하는 것이 가사(家事)를 논하는 것처럼 일상적인 일이고, 가사도 국사를 벗어나지 못한다. 홍얼다이는 사위가 된 가짜홍얼다이와 홍산다이(紅三代)를 포함하여, 태자당(太子黨)이..
중공이 준비한 세 명의 후계자중 보시라이(薄熙來)가 권력을 잡았다면 아마도 사람을 죽이는 것은 별로 꺼리지 않았을 것이다 글: 마비홍(馬悲鴻) 최근에 과 의 두 글이 나왔다. 전자는 4만자, 후자는 1만7천자로 모두 짧지 않다. 기실 이 두 사람을 제외하고, 당시 중공은 또 한명의 후계자를 양성했다. 바로 류위안(劉源). 문혁이 끝난 후, 이 세 명은 거의 동시에 현위서기(縣委書記)를 맡는다. 현에서 시작하여 계속 승진했다. 이 방법은 우주비행사를 양성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매번 우주로 갈 때면 3개의 팀을 준비한다. 만일 1명이 타는 경우면 3명을 준비하고, 3명이 1팀인 경우에는 3팀 9명을 준비한다. 만일 첫째 팀에 문제가 생기면 둘째 팀이 우주로 가고, 둘째 팀에도 문제가 생기면 셋째 팀이 우..
상해탄제일미녀(上海灘第一美女) 장매영(蔣梅英)살인사건 글: 시광고사(時光故事) 예로부터 지금까지, 세월이 흘러도 용모가 노쇠하지 않기를 바라는 것은 많은 여인들의 갈망이다. 오늘 얘기할 주인공은 천생여질(天生麗質)의 미인으로 환갑의 나이에도 여전히 미모를 유지하고 있었는데, 그러한 그녀의 미모가 그녀에게 명성을 가져다준 것이 아니라, 그녀에게 비극적인 운명을 가져다 주게 되었다. 그녀는 바로 "상해탄제일미녀"라고 불리우던 장매영이었다. 그녀는 바로 "미려(美麗)"브랜드 담배의 모델이기도 했다. 강소, 절강은 자고 이래로 미녀를 많이 배출한 지역이다. 장매영은 1913년 절강성 진해(鎭海)의 한 부유한 상인집안에서 태어난다. 부모는 모두 비교적 개명한 사람들이어서, 당시 사상이 수구적인 사람들처럼 "여자는..
서로가 빼앗아가려던 맛있는 먹거리에서 아무도 찾지 않는 뜨거운 감자가 되어버린 올림픽을 개최하려는 도시가 또 있을까? 글: 나일좌성(那一座城) 최근 사람들은 모두 베이징이 유일한 "쌍오지성(雙奧之城, 동계하계올림픽을 모두 개최한 도시)"이라고 말하고 있다. 하계올림픽과 동계올림픽을 모두 개최한 도시는 사상유례가 없었다. 그러나, 요 몇년, IOC는 올림픽개최도시, 특히 하계올림픽개최도시를 찾는 것에 골치아파하고 있다. 그래서, IOC는 개최신청규칙을 바꾸었다. 2017년 여름으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보자. IOC는 이렇게 선언한다. 2028년 올림픽개최도시신청을 받겠다고. 난감한 일이 일어났다. 그 어느 도시도 신청하지 않은 것이다. 어쩔 수 없이 로잔에서 긴급히 '3자간회의'를 개최하여. 아직까지 20..
미중간의 대결이 날이 갈수록 격렬해지면서 대만문제의 국제화 된 양대 강대국이 힘겨루기 글: 정효농(程曉農) 과거 1년여동안 대만은 중국본토무력공격의 위험에 직면했다. 1월 26일 중공의 대외선 는 대만의 앞날에 대하여 이렇게 말했다: "지금 미중간의 대결이 날이 갈수록 격렬해지면서, 대만문제는 우크라니아충돌과 흡사하다. 양대 강대국이 힘겨루기하는 테이블에 올라와, 여러가지 요소로 인하여 더욱 위험해지고 있다....미래에 오직 '언제' 그리고 '어떻게'의 두 가지 문제만 남았고, '되돌아갈' 여지는 존재하지 않는다." 중국이 대만을 이때 러시아와 EU간에서 전쟁이 촉발할 위기를 맞이한 우크라이나와 동일시하는 것은 자신들이 대만을 위협하는 측이라는 것을 인정한 것이나 다름없다. 이 글에서는 대만해협의 국면과..
중국과 일본의 최신 호위함을 비교한다. 글: 탐색시분(探色時分) 2021년에 일본의 최신호위함인 모가미급(最上級)호위함을 모두 3척 진수했다. 3월 3일에는 모가미(最上)호를 진수했고, 6월 22일에는 노시로(能代)호를 진수했고, 12월 10일에는 미쿠마(三隈)호를 진수했다. 착공부터 진수까지 1년여의 시간이 걸렸다. 일본은 앞으로 몇년동안 22척의 모가미급호위함을 건조할 예정이고, 2023년까지 10척의 모가미급호위함이 진수될 예정이다. 조선대국으로서 일본의 군함건조속도는 매우 빠르다. 중국의 가장 선진적인 호위함은 054A형이다. 2008년부터 2019년까지 모두 30척의 군함이 현역에 투입되었다. 054A형은 대공수색레이다를 교체하고, 수직발사대를 추가장착하여 지금 중국의 최강 호위함이다. 그렇다면..
글로벌 최대의 헷지펀드 창업자는 중국의 공동부유 정책을 지지 중 중국당국과 월스트리트 글: 왕혁(王赫) 2022년 1월 10일, 글로벌 최대의 헷지펀드 Bridgewater Associates의 창업자 Ray Dalio는 UBS의 한 투자회의에서 중국의 "공동부유"정책을 지지했다. 얼마전인 1월 1일 Dalio는 니혼게이자이신문과의 인터뷰때 이런 말을 한다: 미국은 국력이 하락하고 있고, 중국의 주도권은 확대되고 있다. 미국 Bridgewater Associates의 100%자회사인 Bridgewater China는 이미 2016년에 성립되고, 2018년에 정식으로 중국내사모관리인이 되어 최초의 사모증권투자펀드를 만들었고, 현재 사모펀드의 관리규모는 백억위안을 넘어섰다. Bridgewater와 Dailo..
중국의 "제14차 5개년계획"에서는 중국경제발전의 주축은 "국내대순환"이라고 강조하며 2021년 외국인투자보도에 타이완자본을 빠트린 이유 글: 진사민(陳思敏) 중국의 "제14차 5개년계획"에서는 중국경제발전의 주축은 "국내대순환"이라고 강조했다. 얼마전에 지나간 2021년은 이 5개년계획을 시작하는 해였다. 그리고 2022년이 시작되자마자, 중국 상무부는 작년의 '실적'을 발표했다. 그런데 내순환의 효과가 아니라 외자유입량이었다. 인민망의 1월 3일자 보도에 따르면, 상무부 대변인 가오펑(高峰)에 따르면, 2021년 1-11월 전국에서 새로 설립된 외상투자기업의 수량은 전년동기대비 29.3% 증가했고, 원천지별로 보면, 새로 설립한 일본, 한국, 미국, EU기업이 각각 32.1%, 31.6%, 30.2%..
양웨이둥(楊偉東)인터뷰 중국스포츠계 금지약물복용의 역사와 현황 현재 독일에 거주하는 전 중국국가체육운동팀 팀닥터 쉐인셴(薛蔭嫻)의 아들 양웨이둥(楊偉東)은 그의 모친이 체육팀의 팀닥터로서 일할 때의 업무일지를 정리하여 이라는 책으로 정리해서 곧 출판할 예정이다. 아폴로신문의 기자가 양위에동을 인터뷰하여 이 책에 언급된 중국운동선수들의 금지약물복용의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기로 한다. 기자: 뒤의 어느 단계에 이르러서는 모든 운동선수들이 금지약물을 복용했는가? 양웨이둥: 시험단계에서, 실제로 모든 운동선수들이 먹었다. 이전에 어떤 매체가 랑핑(郞平, 전설적인 여자배구선수)을 인터뷰한 바 있고, 그녀에게 이전에 금지약물을 복용했었는지 물어보았다. 그녀는 없었다고 대답했지만 그녀의 말은 자신이 없었다. 그녀는 1..
중국의 가장 신비한 부호클럽 "태산회(泰山會)" 해산의 내막. 글: 세태관상(世態觀象) 2013년 11월 16일, 류촨즈(柳傳志, Lenovo 회장)가 16명의 남자로 구성된 신비한 여행단을 이끌고 조용히 타이페이에 도착한다. 그들이 투숙한 타이페이리젠트호텔은 환영플랭카드를 내걸었다가, 곧 질책을 받고 걷어냈다. 그들은 매우 조용하게 움직였지만, 그래도 현지 매체의 주목을 끌었다. 타이완매체는 취재를 하고나서 깜짝 놀란다. 대륙에서 온 16명의 수퍼부호는 2조위안이상의 부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지폐로 바꾸면 지구를 세바퀴는 돌 수가 있는 돈이다. 일행 16명은 바로 "태산회"의 주요 멤버였다. 그들이 이번에 타이완에 온 것은 주로 "태산회"성립 20주년을 기념하면서, 중국경제의 미래동향에 대헤 의견을..
중국 최대의 연료탄수입국이며 석탄수입국인 인도네시아 석탄수출금지가 중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글: 낙아(駱亞), 정정(程靜) 인도네시아는 최근 1월 석탄수출을 금지하여, 국내 전력공급을 확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인도네시아는 중국으로서 최대의 석탄수입국이다. 분석에 따르면, 중국은 이전에 전력공급난을 겪은 바 있는데, 인도네시아의 연료용석탄수출금지는 설상가상이 되어 중국경제에 충격을 가할 것이다. 베이징은 새해가 시작되면서 다섯가지 도전에 직면해 있다. 1월 1일, 인도네시아 광산석탄국 국장 Ridwan Jamaludin은 국내발전소의 석탄부족이 우려되어 인도네시아는 1월 석탄수출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인도네시아는 전세계최대의 연료탄수출국이며 동시에 중국으로서 최대의 연료탄수입국이다. 1월 3일, 인도네시..
미일동맹에 도전하고 군국주의의 심연으로 끌고 들어가는 "랴오닝호"가 공습을 할 수 없는 난감한 항공모함 글: 심주(沈舟) 2021년말, 중국의 랴오닝호 항공모함이 잠시 출항했다가 되돌아온 후, 중국의 당매체인 CCTV와 신화사는 스스로 랴오닝호가 일본의 이즈모호 헬기호위함에 추적당했다는 영상과 사진을 공개했다. 이는 J-15 함재기의 곤경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이즈모호는 랴오닝호에 얼마나 가까이 접근했는가? 랴오닝호는 12월 9일 출항하여 12월 30일 칭다오로 돌아왔다. 그동안 중국은 시종 아무런 소식도 내보내지 않았다. 랴오닝호가 되돌아온 후 중국의 당매체는 비로소 보도하기 시작한다. 신화사가 보도한 사진에서 이즈모호가 랴오닝호 항공모함에 아주 가깝게 접근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게다가 중국의 ..
미중무역전 악화로 2022년 미중관계의 동향에 관한 5가지 관전포인트 글: 양위(楊威) 2021년 미중관계는 개선되지 않았다; 대다수는 2022년의 미중관계에 대하여 그다지 큰 희망을 걸지 않고 있다. 미중간의 대항은 더욱 심화될 것인지 아니면 완화될 것인지. 대체로 아래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미국은 대중관세를 완화할 것인가? 2021년 미국의 무역대표 캐서린 타이(戴琪)는 여러번 암시한 바 있다: 미국정부는 전 미국대통령 트럼프가 시행한 대중관세징벌조치를 감면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동시에 미중간의 1단계무역합의의 집행상황도 주목하고 있다고. 미국 무역대표 캐서린 타이와 미국재정부장 재닛 옐런은 중공 부총리 류허와 소통을 시도한 바 있다고 한다. 그러나 실질적인 진전은 없었다고 한..
신종코로나의 확산을 막기 위해 독단적으로 결정한 시진핑 "봉성청령(封城淸零)"을 고집하는 진실한 이유 글: 장걸(張杰) 2020년 1월 23일, 중국정부는 신종코로나의 확산을 막기 위하여 우한의 봉성(도시폐쇄)를 결정한다. 1,100만인구의 도시가 하룻밤만에 운행을 멈추었다. 법률절차없이, 안치방안도 없이, 시진핑은 독단적으로 결정했고, 우한은 졸지에 인간지옥으로 바뀐다. 필자의 한 이웃은 요독증을 앓고 있어, 매주 병원으로 가서 투석을 받아야 했다. 그런데 봉성후 병원이 투석진료소를 폐쇄해버린다. 그는 집을 떠날 수도 없었다. 그리하여 이틀후 집에서 사망하고 만다. 그의 처는 나에게 메시지를 보내어 "온갖 방법으로 도움을 구하고, 애걸했지만, 두 눈 멀거니 뜨고 죽어가는 것을 보고만 있었다." 우한 봉..
'노변담화'의 형식으로 진행된 블룸버그혁신경제포럼을 미국매체가 주미중국대사와의 인터뷰내용을 단 한곳도 보도하지 않은 이유 글: 주효휘(周曉輝) 12월 25일, 중국의 에는 중국 CCTV의 미국주재기사가 쓴 글이 실렸다. 20일에 주미중국대사 친강(秦剛)이 미국의 여러 주류매체의 편집인 및 원로기자들과 인터뷰를 진행했다고 한다. 인터뷰는 블룸버그혁신경제포럼에서 진행했고, '노변담화'의 형식으로 영어로 진행했다. 인터뷰전에 쌍방은 모든 내용을 보도할 수 있도록 합의한다. 그러나, 중국의 주미대사관이 웹사이트에 이 내용을 올린지 5일이 지났지만, 그 어느 한 곳의 미국매체에서도 이 내용을 보도하지 않았다. 필자의 생각에 블룸버그도 당연히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미국매체의 이런 괴이한 모습에 중국당국과 주미대사..
문혁(文革)때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괴로움과 모욕을 견디지 못하고 자살한 유명한 문화계 10명의 여성 중국의 10년 '문혁'에 참혹한 사건이 무수히 많다. 비정상사망한 수도 천만에 이른다. 그중 적지 않은 유명한 여성들도 문혁때 해를 입었다. 그녀들은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괴로움과 모욕을 견디지 못하고 자살을 선택했다. 1. 주매복(朱梅馥) 대륙의 번역가 부뢰(傅雷)의 처이다. 1966년 9월 3일 새벽, 홍위병에 의해 집안이 쑥대밭이 되고 3박4일간 무릎을 꿇고 비투를 받는 굴욕을 받은 후 부뢰와 함께 집안에서 자살로 생을 마감한다. 2. 이취정(李翠貞) 상해 교외의 남회현 사람. 피아니스트. 상해음악학원 피아노학과 주임. '문혁'때 크게 모욕을 받는다. 홍위병은 그녀로 하여금 땅바닥에 엎드려서 땅위에..
채무문제로 도산에 직면한 헝다위기로 휘청거리는 중국축구 글: 장정(張婷) 2020년 4월, 중국부동산의 거두 헝다집단은 광저우에서 공사에 착공하여, 18억달러를 들여 10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고급축구경기장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헝다위기는 광저우축구장을 새로운 랜드마크로 만들어내지 못했을 뿐아니라, 중국축구계에 큰 충격을 가했다. 중국관영매체는 광저우축구장이 착공될 때 헝다의 고위직의 말을 빌어 대거 선전했었다. 광저우축고장은 세계최고수준으로 건설될 것이며, 국제적인 전용경기장이 될 것이고, 2022년에 준공하여 사용하게 될 것이며, 시드시의 오페라극장, 두바이의 부르즈 할리파와 같은 세계적인 랜드마크가 될 것이고, 또한 중국축구가 세계로 향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헝다는..
중국3대이동통신사업자중 하나인 미국 제재를 피하고 있는 화웨이의 금선탈각(金蟬脫殼) 계획 글: 용등운(龍騰雲) 금년 12월 16일 미국 상무부는 34개의 중국업체를 수출제한의 '실체명단'에 포함시키낟. 그 중에는 화하이(華海)통신국제유한공사(HMN International Co., Ltd.)가 포함되어 있는데, 원래 명칭은 "화웨이해양네트워크유한회사(華爲海洋網絡有限公司)"이며 일찌기 화웨이의 자회사였다. 2019년 미국정부가 화웨이에 대한 제재를 실시한 후, 화웨이는 화웨이하이양, 롱야요(Honor)핸드폰등 산하의 브랜드 혹은 회사를 분사시켰다. 2020년 상반기, 화웨이하이양은 장쑤헝통집단(江蘇亨通集團)에 매각된다. 그리고 2020년 11월 명칭을 "화하이통신"으로 변경시켰다. 같은 달 롱야오핸드폰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