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사 삼국지와 역사상 초선(貂蟬)은 실재하지 않고 소설가들이 꾸며낸 이름 초선(貂蟬)은 서시, 왕소군, 양귀비와 함께 중국의 4대 미인 가운데 한 사람이다.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서 왕윤의 수양딸로 등장해 동탁(董卓)과 여포(呂布) 사이를 이간질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는 여포가 동탁의 이름 없는 시녀와 염문(艷聞)을 가졌다는 정사의 기록과 왕윤(王允)이 여포를 부추겨 동탁을 죽이게 했다는 사실을 연의에서 각색한 것이다. 그래서인지 초선(貂蟬)이라고 하면 남녀노소 모르는 사람이 없다. 고전소설 '삼국연의(三國志演義)'에 상세한 이야기가 실려 있다. 그녀는 삼국시대의 미녀로서, 사도(司徒) 왕윤(王允)의 집안에 있는 가기(歌妓)였는데 왕윤을 도와 동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연환계(連環計)..
삼국연의 촉나라 최고급 모사인 방통의 양모(陽謀)와 제갈량의 음모(陰謀) ‘삼국연의(三國演義)’는 서기 184년 황건적(黃巾賊)의 난부터 서기 280년까지 중국 대륙(大陸)에서 벌어진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집필한 중국의 대표적 연의(고전역사소설)로 명나라 때 나관중(羅貫中)이 쓴 책이다. 서진(西晉)의 진수(陳壽)가 집필한 ‘삼국지(三國志)’와 배송지(裴松之)의 ‘삼국지주(三國志註)’에 수록된 야사(野史)와 잡기(雜記)를 근거로 ‘전상삼국지평화(全相三國志平話)’의 줄거리를 취하여 쓴 작품이다. 원래 이름은 ‘삼국지통속연의(三國志通俗演義)’라 하여 모두 24권 240칙(則)으로 이루어졌다. 참고로 제갈량과 방통은 모두 ‘삼국연의’의 최고급 모사(謀士)이다. 나란히 일룡일봉(一龍一鳳)으로 불린다. 대은사(大..
홍루몽 200여 년 전 세계로 진출할 것 상해세계박람회 백 년 전 예견한 사람들 중국 국내에서 ‘홍루몽(紅樓夢)’ 최초의 운명은 매우 굴곡적(屈曲的)이었는바 일부 사람들은 "유행 바이러스"라고도 여겼다. 1793년 11월 23일, "인이호"로 불리는 화물선(貨物船)이 절강의 한 항만에서 출발해 20여 일간의 항해를 거쳐 12월9일 일본 나가사끼항에 도착했다. 당일 화물을 검사할 때 67종의 중국도서(中國圖書)를 발견했는데 그중 이름이 ‘신수전부수상 홍루몽’이고 총 9부 18조로 되여 있었다. 이것이 바로 향후 전 세계를 풍미(風味)한 오늘날의 ‘홍루몽(紅樓夢)’이였으며 그때의 항로가 ‘홍루몽(紅樓夢)’이 해외로 진출한 최초 기록으로 남게 되였다. 19세기 일본, 조선을 풍미 : 문화적 연원(淵源)으로 말..
의기투합이란 마음이나 뜻이 서로 맞아 의리를 목숨보다 중히 여기고 동고동락 '수호지(水滸志)'에는 탄압(彈壓)받는 민중의 절망적인 한숨과 좌절(挫折)이 있고 부패(腐敗)와 부정에 항거하는 열화 같은 분노와 반항(反抗)이 있다. 썩어 빠진 조정에 분연히 반기를 들고 탐관오리(貪官汚吏)를 통쾌하게 응징하는 영웅호걸(英雄豪傑)들의 활약은 민중들의 가슴을 고동치게 하고 그들의 울분을 달래 주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어찌 보면 영웅담 형식(英雄譚形式)을 취하고 있는 것 같지만 그 본질에 흐르고 있는 것은 어디까지나 힘없고 가련한 민중의 애환(哀歡)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정보화 시대(情報化時代)의 물결을 타고 지나친 기계화(機械化)와 함께 인간성의 상실을 개탄(慨嘆)하는 목소리가 높은 오늘날에 의기(意氣)를 목..
만리장성과도 안 바꾼다는 4대 명작 아이들 열독하기에 적합한가 둘러싼 100년간 논쟁 중국 고전소설 '홍루몽(紅樓夢)은 1740년 무렵 조설근(曹雪芹)이 지은 작품이다. 아녀자들이 사는 붉은 누각(홍루)이 규방을 가리키므로 '홍루몽(紅樓夢)'은 규방의 꿈을 뜻한다. 중국어(中國語)로 약 100만 자에 달하는 대하소설(大河小說)이다. 등장인물(登場人物)만도 400명이 넘고 신분과 계층 또한 천차만별(千差萬別)이다. 중국에서는 '홍루몽(紅樓夢)은 만리장성(萬里長城)과도 바꿀 수 없다'는 말까지 있다. '삼국지(三國志)'와는 달리 '홍루몽(紅樓夢)'은 영웅호걸(英雄豪傑)을 내세우지 않는다. 일상생활 속의 인간 군상(人間群像)을 등장시켜 근대 이후 중국에서 가장 사랑받는 소설이 됐다고 한다. 셰익스피어 문학 연..
삼국연의에서 천하무장들 무술고하와 전후 모순되는 무술묘사의 허점에 대하여 '삼국연의(三國演義)'의 영향력은 사대명저 중 가장 높다고 말하더라도 전혀 지나치지 않다. '삼국연의'는 삼국시대(三國時代)의 역사를 연의의 형식으로 통속화(通俗化)한 것이다. 그것은 '홍루몽(紅樓夢)'처럼 심오엄근(深奧嚴謹)하지도 않고 '서유기(西遊記)'처럼 기환초탈(奇幻超脫)하지도 않다. 그러나 '삼국연의(三國演義)'는 역사를 생동감 있고 재미있으면서 인구(人口)에 회자(膾炙)되게 하였다. 많은 사람들은 연의에 나오는 인물을 역사인물로 인식한다. 일본에서조차도 '삼국연의'를 경전(經典)으로 읽는다. 현재의 관점에서 보자면 '삼국연의(三國演義)'는 비록 완전히 역사를 대표하지는 않지만 많은 이야기식의 연의는 일반사람들이 역사를 이..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삼국연의는 정치계몽서인가 권모술수인가 삼국연의(三國演義) 드라마가 다시 시작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보고 있다. 이건 당연한 것처럼 보인다. 나관중(羅貫中)이 쓴 원본은 발견되지 않았고 가정 연간에 간행된 가정본(嘉靖本) 계통, 가정 연간 이후에 간행된 지전본(志傳本) 계통, 문인 모종강(毛宗崗)이 만든 모종강본(毛宗崗本) 계통이 있다. 세 계통은 장회(章回), 판의 형식, 자구(字句), 주(註), 삽입 시가, 관우(關羽)의 셋째 아들인 관색(關索)의 등장 여부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내용상의 차이는 별로 없다. 세 판본 중 가장 많은 인기를 얻은 것은 모종강본(毛宗崗本)이다. 그 이유는 난삽(難澁)한 장회를 120회로 정비하고, 권두사(卷頭辭), 협비(夾批), 총평 등을 대폭 가다듬었으며 ..
삼국지 대인물 대부분은 군국대사를 먼저 선택하고 후에 가족 친척을 선택 '삼국연의'는 '대인물'에 관한 책이다. 그 안의 주요인물들이 하는 일은 대부분 군국대사(軍國大事)이다. 다만 "대인물(大人物)"도 사람이므로 가정과 친척이 있다. 능력이 우수한 것을 제외하고 그들은 사업과 가정 간에 모순(矛盾)이 생기면 일반적으로 그들은 전자(前者)를 선택한다. 중국인들은 역대이래로 친자(親子)간의 정을 중시했다. 부자자효(父慈子孝)를 강조했다. '삼국연의(三國演義)'의 인물들 중에서 "효(孝)"로 유명한 사람도 적지 않다. 다만 구체적인 상황과 방식은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유비(劉備), 제갈량(諸葛亮), 강유(姜維) 및 서서(徐庶)는 어려서 고아가 되었다. 그중 유비와 강유(姜維)는 소설에 나올 때 "모친을 ..
삼국연의 연구자들이 평가한 관우와 방덕의 유사성격 충돌 및 실제수준 관우(關羽)의 장점과 약점에 대하여는 '삼국연의(三國演義)'의 연구자들이 이미 많이 얘기했다. 본인이 생각하기에 관우성격(關羽性格)의 최대특징은 바로 "지나친 자신감"이다. 이 특징은 그가 몇 가지 기적을 만들어내게 했다. 예를 들어 순식간에 화웅(華雄)의 목을 벤 것이나 안량(顔良), 문추(文醜)를 벤 것이 그것이다. 이러한 기적을 창조한 것은 또 다시 그의 자신감을 강화시킨다. 그리하여 그는 자신의 능력에 대하여 자신의 실제수준보다 훨씬 높이 평가하게 된다. 이것은 그의 실패를 불러온 핵심요소중 하나이다. 만일 무사로서의 관우(關羽)의 평생을 본다면 가장 화려했던 때는 백마(白馬)에서 안량(顔良), 문추(文醜)를 벤 때일 것이다. 그..
삼국연의의 삼국시대 촉한의 장군 위연의 인간관계 및 성격과 운명 '삼국연의(三國演義)' 제65회를 보면 유비(劉備)가 익주목(益州牧)이 된 후 그를 따라 사천에 들어온 여러 장수들에게 봉상(封賞)을 내린다. 관우(關羽), 장비(張飛), 조운(趙雲), 황충(黃忠), 위연(魏延), 마초(馬超)의 6장수는 각각 탕구장군(盪寇將軍), 정로장군(征虜將軍), 진원장군(鎭遠將軍), 정서장군(征西將軍), 양무장군(揚武將軍), 평서장군(平西將軍)에 봉해진다. 제73회에서 유비가 한중왕(漢中王)에 오른 후 다시 한 번 여러 장수들에게 봉상을 내린다. 순서는 다음과 같다. 관우, 장비, 조운, 마초, 황충을 오호대장군(五虎大將軍)으로 하고 위연을 한중태수(漢中太守)로 한다. 두 번의 중요한 봉상에서 서열(序列)이 약간 변화..
삼국지에 등장하는 명장들이 사용한 천하에 이름난 괴력적인 무기들 어린 시절 삼국지(三國志)를 참 재미있게 봤는데 소설에 등장하는 장수(將帥)뿐만 아니라 그들이 사용하는 무기(武器)를 상상하고 더욱 몰입(沒入)하며 읽었던 것 같다. 남자라면 대부분 삼국지에 등장하는 장수 관우(關羽)의 청룡언월도(靑龍偃月刀)를 알고 있을 거라 생각한다. 그래서 오늘은 삼국지에 등장하는 장수들이 어떤 무기를 사용(使用)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다. 글을 쓰면서 백벽도(百辟刀)나 청강검(靑釭劍), 고정도 등 자료가 지나치게 부족해서 첨부(添附)하지 못한 무기들이 많아서 아쉽다. 관우 - 청룡언월도 : 관우(關羽)를 상징하는 무기로 관우(關羽)가 죽은 이후에는 오나라의 장수인 반장(潘璋)이 사용하지만 관우의 차남 관..
조운은 손견의 딸이며 손책 손권의 이복 여동생이자 유비의 부인 손상향을 짝사랑 '삼국연의(三國演義)'에서 조운(趙雲)은 무예가 고강할 뿐 아니라 미남이다. 이런 사람을 어느 여인인들 보고서 마음이 흔들리지 않겠는가. 조운(趙雲)이 명을 받아 계양(桂陽)을 공격할 때 이런 난감(難堪)한 일이 벌어졌다. 각설하고 조운(趙雲)이 계양을 공격할 때 계양태수 조범(趙範)은 스스로 상대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스스로 성문을 열고 나와 투항(投降)한다. 그리고 주인의 예를 다하기 위하여 조범은 조운을 집안으로 모셔서 대접한다. 두 사람은 모두 성이 조씨이므로 조범(趙範)은 두 사람이 결의형제(結義兄弟)를 맺자고 제안한다. 조운은 호쾌한 사람이어서 즉시 시원스럽게 응락(應诺)한다. 다만 술을 어느 정도 마셨을 때 ..
삼국지 중심내용 읽다보면 허구와 진실이 뒤섞인 존유폄조(尊劉貶曹) 경향성 짙다 우리가 읽는 ‘나관중(羅貫中)의 삼국지’를 흔히 ‘칠실삼허(七實三虛)’이라고 일컫는데, 이는 곧 역사적 사실이 7할이고 소설로 꾸며낸 이야기가 3할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소설 삼국지’의 구체적(具體的)인 사건과 인물에 관한 이야기를 살펴보면 3할 보다는 훨씬 많은 허구(虛構)들이 들어있음을 알 수 있다. ‘소설 삼국지’와 역사학자 진수(陳壽)가 쓴 ‘정사 삼국지’ 사이에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이 책의 기본적인 내용은 두 가지 삼국지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나관중의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는 사실 나관중 혼자만의 작품이 아니라 아주 오래전부터 이어져 오던 소위 ‘이야기꾼’들의 삼국지를 나관중이 집대성한 것이다. 그리고 오..
'삼국연의'에 기재된 무장들의 '일대일대결' 장면은 역사적으로 실제 존재했는가 '삼국연의'의 문학적 묘사에는 과장된 부분이 있다. 그러나 "무장 일대일대결(武將一對一對決)"이라는 장면은 역사적으로 실제 존재했었다. 청나라 때의 고증대가는 사적, 필기에 기재된 무장의 일대일대결(一對一對決)에 관하여 정리한 바 있다. 왕완정(王阮亭)이 '지북우담(池北偶談)'에서의 내용을 인용하여 이렇게 결론 내렸다. "예로부터 정말 장수(將帥)들이 싸우는 일이 있었다. 모조리 패관(稗官)들의 헛소리만은 아니다." 비록 그가 찾은 사례가 많지는 않았고 모두 합쳐서 20여개밖에 되지 않았지만 시간적 스펙트럼은 상당히 넓었다. 최초에 발생한 것은 기원전7세기 춘추시대(春秋時代)이고 가장 늦은 것은 숭정연간이었으며 명나라장수가 농..
작자는 촉한 편을 들어 ‘삼국연의’에서 석정전투(石亭戰鬪)를 언급하지 않았다 석정 전투(石亭戰鬪) 혹 협석 전투(夾石戰鬪)는 228년 삼국시대 때 위나라와 오나라 간에 벌어진 전투이다. 당시 제갈량(諸葛亮)의 제1차 북벌을 막은 데 성공한 위나라의 사마의(司馬懿)는 양주 도독 조휴(曹休)로부터 오나라 양주 파양 태수 주방(周魴)이 위나라를 돕는다는 소식을 듣는다. 이에 사마의(司馬懿)는 위나라 황제 명제에게 소식을 알리고 군사를 일으키고자 했다. 명제는 일단 조휴(曹休)에게 명해 오나라를 치게 하고 사마의를 시켜 조휴를 돕게 하고 가규(賈逵)에게는 만총(滿寵), 호질(胡質) 등 4군을 지휘하여 동관으로 진격하게 했다. 하지만 이것은 오나라의 함정이었는데 조휴(曹休)는 이를 눈치 채지 못하고 심양을 향해 ..
삼국지 전형적인 인물 탈피에서 본색을 드러낸 삼국연의 인물들의 실제 나이 무대 뒤에 있는 진짜 ‘삼국지(三國志)’를 만난다. 삼국 이야기의 주역들과 전형적(典型的)인 인물에서 탈피해 본색(本色)을 드러내다. 삼국지에서 가장 대중적(大衆的)인 사랑을 받는 인물은 단연 조조(曹操), 관우(關羽), 제갈량(諸葛亮)일 것이다. 조조는 간교(奸巧)함과 악인의 상징으로 관우는 충절(忠節)을 목숨보다 중요시한 맹장으로 제갈량은 뛰어난 예지 능력(叡智能力)을 발휘하여 항상 적의 허를 찌르는 초인적(超人的)인 인물로 우리의 머릿속에 각인(刻印)되어 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고정관념(固定觀念)이 실제 역사적 사건과 인물에 대한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이해를 방해(妨害)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뒤집어서 생각하면 삼국 시..
삼국지 영웅호걸들 무공순위 배열과 삼국지 등장인물 인간력 곡해를 재평가 사람이 쓴 소설 중 성경(聖經)을 제외하고는 가장 많이 읽히는 책이 삼국지 아닐까 싶다. 아니 정확히는 나관중(羅貫中)의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이다. 이 책은 삼국시대(三國時代)가 종결 된지 천년이나 지난 1300년대 말~1400년대 초에 지어진 삼국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많은 부분이 정사(正史)의 기록과 일치하진 않는다. 소설이니 소설답게 허구성(虛構性)이 짙기는 하지만 엄청난 사람이 읽는 책이다 보니 그에 맞게 평론이나 역발상의 후속작(後續作)도 엄청나게 간행되고 있다. 계화(桂華)가 지은 ‘삼국지 인간력’에는 소설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서 다뤄진 인물들의 사실적이고 역사적인 재평가(再評價)를 통해 혹시 있을지도 모르는 등장인..
삼국시대 손권(孫權)은 '삼국연의'에서 가장 왜소화된 영웅으로 주목 삼국시대(三國時代)가 근 이천년 동안 가장 주목받는 역사가 된 근본원인은 두 부의 유명한 저작 때문이다. 하나는 바로 나관중(羅貫中)이 쓴 중국 고대 사대명저 중 하나인 '삼국연의(三國演義)'이고 다른 하나는 진수(陳壽)가 쓴 역사서 ‘삼국지(三國志)’이다. 비록 한 부는 소설이라는 이름으로 삼국역사를 쓰고 다른 한부는 정통사서(正統史書)라는 이름으로 삼국역사를 쓰지만 자세히 이 두 부의 위대한 저작을 읽어보면 우리는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소설도 좋고 사서도 좋고 그들은 최소한 세 가지 공통적인 특색(特色)이 있다. 첫째는 한 사람이 독립적(獨立的)으로 완성했고 둘째는 인물을 잘 표현(表現)하는 것을 최대의 특징으로 삼았다. 셋째는 많..
난세 호걸이 나오는 삼국시대를 배경으로 한 장편소설 삼국연의 7대 신비고수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는 서기 184년 황건적의 난부터 서기 280년까지 중국 대륙에서 벌어진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집필한 중국의 대표적 연의는 고전역사소설로 명나라 때 나관중(羅貫中)이 쓴 책이다. 서진(西晉)의 진수가 집필한 ‘삼국지’와 배송지(裵松之)의 ‘삼국지주(三國志註)’에 수록된 야사와 잡기를 근거로 ‘전상삼국지평화(全相三國志平話)’의 줄거리를 취하여 쓴 작품이다. 원래 이름은 ‘삼국지통속연의(三國志通俗演義)’라 하여 모두 24권 240칙(則)으로 이루어졌다. 참고로 중화권에서는 ‘삼국연의(三國演義)’라고 하며 영미권(英美圈)에서는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라는 영문 제목으로 잘 알려져..
설보채 같은 여자와 결혼하려는 것이 이 세상의 모든 남자들의 이상적 로망일까 설보채(薛宝钗)는 중국 고전소설 홍루몽의 여주인공이다. 금릉십이채(金陵十二釵)이며 가보옥(賈寶玉)의 이모인 설부인의 딸이자 설반(薛蟠)의 여동생이다. 주인공인 가보옥과는 외종사촌 누나가 된다. 대관원(大觀園)에서의 거처는 형무원(蘅蕪院)이며 호는 형무군(蘅蕪君)이다. 금릉십이채(金陵十二釵)에서 임대옥(林黛玉)과 더불어 첫머리에 꼽히는 인물이다. 또 다른 여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임대옥(林黛玉)과는 대조적인 여성관(女性觀)을 가진 인물로 임대옥(林黛玉)이 병약하고 가늘한 느낌을 주는 미인이라면 이쪽은 건강하고 풍만(豐滿)한 느낌의 미인이다. 특히 피부가 새하얗고 부드러운 것이 특징(特徵)인데 정작 본인은 자신의 풍만한 신체가 콤플..
중국고전소설의 백미로 손꼽히는 홍루몽연구와 연구자들의 치열한 거촉(擧燭) 중국고전소설의 백미(白眉)로 손꼽히는 ‘홍루몽(紅樓夢)’은 창작 당시부터 큰 논란을 불러 일으켰던 작품이다. 구홍학에서 신홍학, 당대 홍학에 이르기까지 많은 연구자들이 내놓은 서로 다른 목소리와 주장들은 ‘홍루몽(紅樓夢)’연구가 그 동안 어떠한 양상으로 진행되어 왔는지 가늠할 수 있게 해준다. ‘홍루몽(紅樓夢)’은 치밀한 구성과 범상치 않은 스토리로 청춘남녀의 비극적인 사랑과 당시 사회의 어지러운 시대상을 보여주며 수많은 독자들의 마음을 울렸으나 이와 함께 작품의 독특한 부호체계와 상징성 및 작품 외연의 문제 즉 작가의 생평과 판본 문제 등으로 말미암아 중국고전소설작품 가운데 가장 복잡하고 해독하기 어려운 텍스트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홍학(紅學)"은 본질상 정도(正道)에 어그러진 학문(學問)인 "위학(僞學)"인가 청나라 강희-옹정-건륭 삼대에 걸쳐 한 귀족 가문의 성쇠를 다룬 ‘홍루몽(紅樓夢)’은 전 세계에 이를 연구하는 학자가 수천 명에 이를 정도로 대단한 소설이다. ‘홍학(紅學)’이라는 별도의 학문 분야가 형성될 정도다. 마오쩌둥(毛泽东)은 이 작품은 최소한 다섯 번은 읽어야 하며 ‘홍루몽(紅樓夢)’을 읽지 않으면 중국 봉건문화(封建文化)를 이해할 수 없다고 단정했고 중국인들은 ‘홍루몽’을 만리장성과도 바꾸지 않는다고 한다. 작품성이나 보편성의 잣대로 보자면 ‘서유기(西遊記)’ ‘삼국연의(三國演義)’ ‘수호전(水滸傳)’ ‘금병매(金甁梅)’ 등 중국 사대기서보다 훨씬 윗길에 오른 작품이 바로 ‘홍루몽(紅樓夢)’이다. 최근 홍학에 ..
홍학파들의 치열한 논쟁 중인 홍학은 20세기 최대의 학문스캔들인가? 홍루몽(紅樓夢)은 청나라 건륭제 시기의 작가인 조설근(曹雪芹)이 쓴 고전소설이다. 등장인물만 700명에 달하며 등장인물들의 세밀한 묘사로 청나라 시대의 대표적인 걸작소설(傑作小說)로 칭송받고 있으며 100여 차례 간행되었고 30여 종의 후속편들이 나왔을 만큼 중국에서 크게 인기를 끈 국민적인 고전이 되었다. 한국에서는 홍루몽이 삼국지(三國志)와 서유기(西遊記), 수호전(水滸傳)에 비해 인지도에 밀리지만 많은 중국학자들도 홍루몽에 대해 연구해 "홍학"(紅樓夢學)이란 말까지 생겨났을 정도다. 홍루몽은 문학적 가치, 예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중국 고전소설의 정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금병매(金甁梅)를 제외시킨 '사대명저(四大名著)'의..
홍학가들 홍루몽 후40회는 고리타분하고 재미가 없고 졸렬한 작품이라고 비판 이 글은 중국 청대의 조설근(曹雪芹; 1715~1763)이 쓴) 홍루몽에 대한 작품론을 전개(展開)하는 것을 기초로 하여 첫째, 작품배경(作品背景)이 된 청대 현실에 초점을 맞추어 ‘반봉건(反封建)’을 핵심으로 파악(把握)하는 견해와 둘째, 홍루몽을 연구하는 당대의 현실과의 관련선상에서 홍루몽(紅樓夢)의 현실관을 살피는 논의가 그것이다. 이 경향성(傾向性)은 대체로 역사성에 기초한 연구사들 내에서 착종(錯綜)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은 가부(賈附)의 몰락과정을 서사의 중심선(中心線)으로 간주한 가운데 세부적으로 공명과 경제, 도덕, 그리고 혈연(血緣)의 연속성이라는 문제들을 주 쟁점으로 하여 홍루몽에 대한 문학사회학적 ..
청나라 문학가 조설근과 세간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아 안았던 4대기서 ‘홍루몽’ 중국의 4대 기서(四大奇書)로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수호전(水滸傳)''서유기(西遊記)''금병매(金甁梅)'를 꼽지만 '홍루몽(紅樓夢)'의 문학성을 이들보다 훨씬 높게 치는 게 일반적이다. 청 건륭제(乾隆帝) 때 조설근(曹雪芹)이 지은 장편소설 '홍루몽'은 원제가 '석두기(石頭記)'이며 '금옥연(金玉緣)''풍월보감(風月寶鑑)''금릉십이채(金陵十二釵)'등의 별칭이 있다. 80회본의 판본(板本)은 조설근(曹雪芹)의 원작으로 필사본(筆寫本)이며 고악(高鶚)이 40회를 덧붙여 1791년 120회본을 내놓은 판본을 정갑본(程甲本)이라 한다. 금릉(남경)에 있는 가(賈)씨 집안을 무대로 500여 명의 등장인물(登場人物)이 등장하는 이 ..
가보옥과 습인 사이를 질투하지 않은 임대옥은 시녀에 대한 위계질서 때문일까 가보옥(賈寶玉, 홍루몽의 남자주인공)은 여자아이들에 둘러싸여 노는 것을 가장 좋아했다. 대관원(大觀園), 홍루몽의 배경이 된 집안에 있는 여자아이들은 모두 그와 매우 가깝게 지내는데 이 중에서 두말할 필요도 없이 그의 임누이(林妹妹) 임대옥(林黛玉)에 대한 태도는 다른 사람과는 달랐다. 어려서부터 같이 먹고 같이 자며 정의(情誼)는 말할 것도 없고 가장 특이(特異)한 것은 두 사람의 성정(性情)이 아주 닮았다는 것이다. 임대옥(林黛玉)이 가부(賈府), 가씨 저택에 들어온 그 때부터 가보옥(賈寶玉)은 바로 이 누이(林黛玉)를 마치 이전에 본 것 같았다. 그들의 인연(因緣)은 한두 마디로 충분(充分)히 말할 수는 없을 정도이다. 임대..
100여 년간 지속된 홍학계 논쟁이 거센 홍루몽 최초 작자는 조설근이라는 견해 홍루몽(紅樓夢)의 최초작가에 대하여 홍학계(紅學界)에서는 논쟁이 매우 거세다. 청나라말기부터 논쟁(論爭)이 시작되어 지금까지 약 100여 년간 계속되는 것이다. 홍루몽의 최초작가가 조설근(曹雪芹)이 아니라는 견해를 취하는 사람들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측면의 이유(理由)를 들고 있다. 첫째, 제1회에서 공공도인(空空道人)이 돌에서 베끼고 그 후에 석두기(石頭記)를 정승록(情僧錄)으로 바꾸었으며 나중에 동로(東魯)의 공매계(孔梅溪)가 풍월보감(風月寶鑑)으로 개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조설근(曹雪芹)이 10년 동안 피열(披閱)을 거쳐 5번에 걸쳐 증보 삭제(增补削除)하고 목록을 작성하며 장회를 나누고 금릉십이채(金陵十二釵)로 ..
일부에서 백년홍학 중국문화의 독류(毒瘤)요 학술연구 치욕이라는 견해와 주장 견해가 고루과문(孤陋寡問)해서인지 몰라도 중국(中國)에서 '작자'는 중국예술연구원(中國藝術硏究員) 홍루몽연구소(紅樓夢硏究所) 및 중국홍루몽학회(中國紅樓夢學會)와 같은 이 두개의 기구보다 더욱 부끄럽고 가소롭고 슬프고 가련(可恥, 可笑, 可悲, 可憐)한 소위 "학술단체(學術團體)"는 본 적이 없다. 이 두개의 소위 "학술단체(學術團體)"는 "홍루몽연구(紅樓夢硏究)"를 둘러싸고 즉 통상 말하는 "홍학(紅學)"을 위하여 설립된 것이다. 만일 왕국유(王國維)가 1904년에 발표한 '홍루몽평론(紅樓夢評論)'을 현대 홍학 내지 현대학술(現代學術)의 시작으로 본다면 현대 "홍학(紅學)"은 이미 꼭 100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중국예술연구원..
임대옥과는 대조적인 여성관을 가진 인물인 설보채의 숙녀배후의 진상 설보채(薛寶釵)는 중국 고전소설 홍루몽(紅樓夢)의 여주인공이고 금릉십이차(金陵十二釵)이며 가보옥(賈寶玉)의 이모인 설부인의 딸이자 설반(薛蟠)의 여동생이다. 주인공인 가보옥(賈寶玉)과는 외종사촌 누나가 된다. 대관원(大觀園)에서의 거처는 형무원(蘅蕪院)이며 호는 형무군(蘅蕪君)이다. 금릉십이채(金陵十二釵)에서 임대옥(林黛玉)과 더불어 첫머리에 꼽히는 인물이다. 또 다른 여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임대옥(林黛玉)과는 대조적인 여성관(女性觀)을 가진 인물로 임대옥(林黛玉)이 병약하고 가늘한 느낌을 주는 미인(美人)이라면 이쪽은 건강하고 풍만한 느낌의 미인이다. 특히 피부가 새하얗고 부드러운 것이 특징(特徵)인데 정작 본인은 자신의 풍만한 신체가..
가정생활 애정 혼인문제 제재로 한 금병매 홍루몽은 현실사회 반영한 인정소설 홍루몽(紅樓夢)이 천고의 명저(名著)라고 얘기하면 거의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음서'로 악명 높은 금병매(金甁梅)를 명저라고 하거나 심지어 위대한 작품이라고 하면 동의(同意)하지 않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재미있는 것은 금병매(金甁梅)에 대하여 강연하는 학자들 중에서 유세덕(劉世德) 선생이 금병매(金甁梅)를 위대하다고 말하는 것을 빼고 다른 학자들은 대부분 금병매(金甁梅)를 명저라는 정도로 인정(認定)한다. 시간적으로 보면 금병매(金甁梅)는 홍루몽(紅樓夢)보다 반세기 먼저 나타났다. 그리고 홍루몽(紅樓夢)이 세상에 나타나자마자 어떤 사람은 바로 홍루몽(紅樓夢)이 금병매(金甁梅)에서 유래했다고 말했다. 금병매..